-
[스크랩] “백제 왕궁리 유적 중국 도성제 영향”<인물산하기관> 2006. 4. 27. 17:07
“백제 왕궁리 유적 중국 도성제 영향” [대전일보 2004-10-25 14:52] 포토
취임사 하는
김종빈 신임 검찰총장"남편이 못다 이룬 경찰의 꿈
대신 이룰 거예요"`죽도로 죽도록 맞고 싶냐'
독도규탄 집회"맛있게 잘 먹었습니다"
급식학생 감사편지
김용민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장은 ‘익산 왕궁성의 조영과 공간구획에 대한 고찰’이라는 주제의 논문에서 “익산 왕궁리 유적은 남북이 긴 장방형으로 남북 길이와 동서 길이가 거의 2대 1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며 “방어용으로 세워진 백제시대 일반 성곽과는 달리 일정 공간을 계획한 뒤 조성한 중국 고대도성과 유사하다”고 밝혔다.
익산 왕궁리 유적은 익산 미륵사지와 쌍릉, 제석사지와 함께 백제 무왕대 익산경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요 유적이다.
김소장은 “낮은 구릉을 평탄한 지대로 활용하기 위해 동·서, 남·북방향 축대를 설계에 따라 세웠다”며 “내부 공간이 일정 비례를 이루도록 조영했으며 남쪽은 중심관청과 거중공간, 북쪽은 후원으로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또 “생활거주공간은 동서방향 석축을 일정 간격으로 쌓아 지대를 평평하게 한 후 내부에 건물을 배치했다”며 “남쪽 성벽에서 궁성중심까지 조성된 동서석축은 2:1:2:1의 일정한 비율을 보이고 있어 공간활용을 위해 규칙적인 비율을 적용한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는 충남대 백제연구소(소장 장인성 교수)가 25-26일 ‘고대 도시와 왕권’을 주제로 개최하는 제12회 백제연구 국제학술회의에서 논의된다. 한편 이번 행사에는 박순발 교수(충남대) ‘사비도성의 경관에 대해’, 강종원 연구위원(충남역사문화센터) ‘백제 사비도성의 경영과 왕권’, 김수태 교수(충남대) ‘사비시대 백제의 왕경인’, 여호규교수(외국어대) ‘국가 제사를 통해 본 백제 도성제의 전개과정’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대전일보 뉴스)
남상현 기자 southern@dinz.net기사제공 : 출처 : 나라사랑글쓴이 : 나라사랑 원글보기메모 :'<인물산하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문화재] 힘얻는 백제의 익산천도設 (0) 2006.04.27 [스크랩] <화제> 일본판 `서동(薯童)설화` (0) 2006.04.27 [스크랩] `익산 `왕궁리 사리장엄구`는 백제 작품` (0) 2006.04.27 [스크랩] 고려 석탑서 어떻게 백제 유물이... (0) 2006.04.27 [스크랩] 국내 最古 백제 사리장엄구 확인 (0) 2006.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