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문화재] 힘얻는 백제의 익산천도設<인물산하기관> 2006. 4. 27. 17:10
[문화재] 힘얻는 백제의 익산천도設 [한국일보 2003-05-26 17:00] 포토
'송혜교 염산테러'
전 매니저에 실형선고이병헌,
달콤한 흥행 위해 일본 간다니콜 키드만 시사회 참석 TV
'꽃보다 여자'
김민희 대신 사강을50년 간의 논쟁을 부른 ‘백제의 익산 천도설’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원 광대 마한백제연구소(소장 김삼룡)가 23일 설립 30주년을 맞아 연 국제학 술대회는 그 동안 제기된 익산 천도설 관련 연구 성과와 쟁점을 총정리하 고 고고ㆍ문헌사학 양면에서 천도론에 무게를 실었다. 20여 편의 관련 논문이 발표된 이날 학술대회에 참가해 난상 토론을 벌인 100여 명의 전문가들은 대체로 익산 천도설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였다. 논란과 쟁점 1950년대 역사학회에서 황수영(85) 박사가 처음 제기한 익산 천도설은 지 금까지 지지와 부정이 팽팽했으며 그 결과 천도가 준비에만 그쳤다는 ‘미 완의 왕도설’이 통설이었다. 이병도 박사를 비롯, 천도설을 부정하는 측 은 천도와 같은 중요한 사실이 삼국사기에 기록되지 않았을 리가 없다고 지적했다. ‘무왕 31년(630년) 사비성을 중수하고 웅진에 행차했다가 여름에 한발이 들어 사비성 공사를 중단하고 웅진으로 돌아갔다’는 삼국사기 기록에 익 산이 언급되지 않은 점 등은 천도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 그러 나 1970년 중국 육조(六朝)시대의 문헌 ‘관세음응험기(觀世音應驗記)’에 ‘백제 무왕이 지모밀지(枳慕蜜地ㆍ현재 왕궁리 근처)로 천도해 새로 사찰 을 경영했다. 639년에는 제석정사가 불탔는데 불사리병 등은 타지않고 남았다’는 기록 이 발견된 것을 계기로 천도설이 본격 제기됐다. 또한 90년대 이후 왕궁리 유적과 미륵사지, 무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보이는 쌍릉 발굴 등 고고학적 성과가 쏟아지면서 천도설이 힘을 얻어 가고 있다. "천도설"의 새 논거 이번 대회에서 이도학(전통문화학교) 송일기(전남대) 나종우(원광대) 교수 와 홍윤식 동국대 명예교수 등이 관세음응험기와 삼국사기 등에 대한 문헌 고증과 함께 새로 발견된 고고학 자료 검토를 토대로 천도설을 폈다. 이 교수는 ‘백제 무왕대 익산 천도설의 검토’라는 논문에서 관세음응험 기와 삼국사기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때 무왕이 즉위 전반기(630년 이전 )에 자신의 세력 근거지인 익산을 왕도로 삼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비성 중수(重修)에 관한 삼국사기 기사는 무왕이 중수를 위해 잠시 웅진성으로 거소를 옮긴 것이 아니라, 사비성을 중수하고 있을 때 제3의 장소, 즉 익산에 있다가 웅진성으로 행차했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삼 국유사에 실린 미륵사 창건 설화에 무왕이 왕비와 함께 익산 사자사에 행 차했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왕이 사비에 있었다면 그렇게 멀리 행차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왕궁 유적과 ‘수부(首府)’라는 명문이 적힌 미륵사지 출토 기 와, 무왕의 무덤으로 드러난 쌍릉 등을 천도설의 근거로 들었다. 그는 또 삼국사기가 천도 사실을 기록하지 않은 것과 관련, “미륵사 창건이나 광 개토왕비에 기록된 여러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삼국사 기 기사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송일기 전남대 교수는 익산 왕궁탑 출토유물이 백제 때 제작된 것으로 보 아 천도설을 간접적으로 뒷받침했다. 그는 왕궁탑에서 나온 ‘금지금강사 경’의 변화 과정을 추적한 결과 백제 무왕대에 제작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만약 이 금강경이 무왕 때 제작됐다면 실제로 무왕이 수도를 옮겨 절을 짓고 탑을 만들었다는 근거가 된다. 지금까지 왕궁탑이 신라말 고려 초에 세워진 탑이라는 주장이 통설이었고 그 안에서 나온 유물도 백제 때 제작된 것으로는 보지 않았다. 그는 “지난해 왕궁리 유적에서 유리와 금을 가공한 공방 터와 성벽 등이 발굴돼 현지에서 직접 제작해 탑에 봉안한 유물일 가능성이 커졌다”며 “ 이 정도로 다양하고 중요한 유물, 유적이 있다면 왕궁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망
익산 천도설이 정설이 되면 백제사 후반부에 대한 역사교과서 서술이 수정돼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천도설을 뒷받침할 결정적 증거가 없다는 의견도 끊이지 않고 있다.
노중국 계명대 교수는 “여러 정황으로 보아 무왕이 천도를 추진한 것은사실이지만 막판에 사비 지역 귀족들의 반대로 실행하지 못했다”며 “이는 조선시대 정조가 화성을 지어놓고 천도하지 못한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일부에서는 평지인 익산이 방어에 취약하다는 점에서 왕궁으로는 부적합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왕궁리 유적을 중심으로 백제 유물이 잇따라 확인되면서 천도설은단순한 ‘설’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1973년 연구소를 설립해 관련분야에 대해 15차례의 학술대회와 50여 차례의 발굴조사를 주도하며 끈질기게 매달려온 김삼룡 소장은 “최근 천도설을 뒷받침할 각종 문헌과 고고학적 유물이 확인됨으로써 천도설은 육하원칙에 의거해 입증될전기를 맞았다”고 의욕을 보였다.
기사제공 : 출처 : 나라사랑글쓴이 : 나라사랑 원글보기메모 :'<인물산하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땅이름/익산 (0) 2006.04.27 [스크랩] 한국사 미스터리](18) 금마면 왕궁리 유적 (0) 2006.04.27 [스크랩] <화제> 일본판 `서동(薯童)설화` (0) 2006.04.27 [스크랩] “백제 왕궁리 유적 중국 도성제 영향” (0) 2006.04.27 [스크랩] `익산 `왕궁리 사리장엄구`는 백제 작품` (0) 2006.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