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고려 석탑서 어떻게 백제 유물이...<인물산하기관> 2006. 4. 27. 17:06
고려 석탑서 어떻게 백제 유물이... [문화일보 2004-12-07 12:26] 포토
벌써 잊었나?
짜릿한 노출의 기억'받지 않을 자유',
삐삐라면 가능해!80억대 문화재 절도단 적발 바자 3월호
사실 그동안 왕궁리 사리장엄구의 제작시기를 늦게 봤던 것은 1 층 지붕돌 외에 석탑에서 가장 앞선 시기의 유구(遺構)로 추정된 기단 내부 심초석(心礎石·주춧돌) 윗면에 품자(品字)형태로 뚫 린 3개의 사리공에서 나온 다양한 사리장치 때문이었다. 이중 동 편 사리공에서 나온 금동여래입상이 양식분석을 통해 10세기 대 작품으로 추정되면서 석탑이나 사리장엄구 모두 나말여초나 고려 시대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다 사리장치의 제작연대 는 지난 1991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불사리장엄전’에서 경북 칠곡 송림사 전탑과 불국사 석가탑 사리장엄구와의 비교를 통해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중엽 작품으로 연대가 올라갔으며, 이번에 다시 한씨에 의해 백제 무왕대 작품으로 새롭게 편년됐다.
왕궁리 5층석탑에선 1층 지붕돌 동편 사리공외에 서편 사리공에 서도 19매의 금제금강경판(金製金剛經板)이 봉안된 금동법사리( 法舍利)내합과 금동법사리외함이 나와 우리나라 사리봉안방식으 로는 유일하게 신사리(身舍利)와 법사리를 동·서로 구획한 별도 의 사리공에 봉안한 사례로 관심을 끌었다. 그런데 이와 관련, 일본에서 11세기 후반 사본(寫本)으로 전해지는 ‘관세음응험기(觀 世音應驗記)’를 보면 백제 무왕 때 건립한 제석사 7층목탑이 63 9년 화재로 불탔을 때 탑의 심초석 안에서 칠보와 수정병에 든 불사리, 동판을 종이처럼 얇게 만들어 ‘금강반야경’을 새겨 넣 은 목칠함이 있었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 한씨는 재질만 다를 뿐 왕궁리 5층석탑 사리장엄구와 내용이나 봉안방식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 자료로 주목된다고 밝혔다.한씨는 왕궁리 5층석 탑 기단 내부에서 발견된 품자형 사리공이 있는 심초석을 석탑에 선행한 백제 목탑의 유구로 보고 목탑이 유실된 뒤 석탑을 세우 면서 그 자리에 있던 사리장엄구를 석탑 1층 지붕돌 상부로 옮겨 봉안하고 기존 목탑 사리공 안에 당시 제작된 금동여래입상을 봉안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최영창기자
기사제공 : 출처 : 나라사랑글쓴이 : 나라사랑 원글보기메모 :'<인물산하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백제 왕궁리 유적 중국 도성제 영향” (0) 2006.04.27 [스크랩] `익산 `왕궁리 사리장엄구`는 백제 작품` (0) 2006.04.27 [스크랩] 국내 最古 백제 사리장엄구 확인 (0) 2006.04.27 ((고도 익산 블로그))iksancom/7770798 (0) 2006.04.27 [스크랩] 與 익산시장 후보 경선에서 현직 시장 패배 (0) 2006.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