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국내 最古 백제 사리장엄구 확인<인물산하기관> 2006. 4. 27. 17:06
국내 最古 백제 사리장엄구 확인 [문화일보 2004-12-07 12:26] 포토
벌써 잊었나?
짜릿한 노출의 기억'받지 않을 자유',
삐삐라면 가능해!80억대 문화재 절도단 적발 바자 3월호
통도사 성보박물관(관장 범하 스님)의 한정호 학예연구사는 최근 박물관 부설 불교미술사학회 주최로 통도사에서 열린 학술대회 에서 발표한 ‘익산 왕궁리 5층석탑 사리장엄구의 편년 재검토’ 란 논문에서 “왕궁리 5층석탑의 1층 옥개석(屋蓋石·지붕돌)에 서 나온 사리장엄구 중 금제사리내합(金製舍利內盒)의 본체 4면 에 선각(線刻)된 ‘삼능심엽형화문(三稜心葉形花紋)’을 삼국시대 및 일본 고대유물의 문양과 비교분석한 결과 백제 사비시대 유물 에서 전형적으로 보이는 문양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왕궁리 5층석탑 해체수리 때 1층 지붕돌 동편 사리공(舍利孔)에 서 금동사리외함에 담긴채 발견된 금제사리내합은 연꽃무늬 형태 의 꼭지가 부착된 방추형 뚜껑이 달려 있으며, 안에 사리가 담긴 녹색유리병이 안치돼 있었다. 전체 높이 10.3㎝. 금제사리내합 의 뚜껑과 본체에는 무수히 많은 둥근 어란(魚卵·고기 알) 무늬 와 함께 꽃무늬가 음각돼 있다. 특히 본체 4면의 중심부 직사각형 안에 음각된 꽃무늬의 경우 하트모양의 구멍이 뚫려있는 가운데 연꽃에서 두 갈래 줄기가 나와 좌우에 꽃이 배치돼 있는 형태이 며, 꽃 안에 빗살 모양의 선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이 꽃무늬는 일반적으로 연화문(蓮花紋·연꽃무늬)으로 소개돼 왔는 데, 한씨는 단순한 연화문이 아니라 연화문에 고구려 고분벽화인 각저총과 덕화리 1호분 현실천장, 부여 규암면 출토 산수봉황문 전(山水鳳凰文塼)에 보이는 운문(雲紋·구름무늬) 또는 운기문( 雲氣紋)이 결합된 문양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삼능심엽형화문으로 불렀다.
한씨에 따르면, 동아시아에서 방추형용기가 사리장엄구로 사용된 예도 4건에 불과하며, 모두 국내에서 발견됐다. 왕궁리 5층석탑 것과 645년 매납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주 황룡사 9층목탑 금동 사리합, 682년쯤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감은사 동·서3층석탑 금동사리외함 등 모두 비교적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 다. 이어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금속공예품을 살펴본 한씨는 부여 능산리고분 출토 금동투조금구(金銅透彫金具)와 금동관장식 (金銅棺裝飾), 나주 복암리 5호분 출토 규두대도(圭頭大刀), 익 산 쌍릉 출토 금동관장식 및 미륵사지 출토 금동제장식구 등 대 략 10여점의 유물에서 왕궁리 금제사리내합의 삼능심엽형화문과 유사한 계통의 문양이 등장하는 예를 확인했다.
이들 유물은 모두 백제 사비시대(538~660년) 유적에서 발견된 것 이 특징인데, 이를 통해 왕궁리 금제사리내합도 6세기 중반에서 7세기 전반기에 해당하는 사비시대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사비시대 가운데서도 미륵사와 제석사 등 익산에 대규모 역사가 진행된 백제 무왕 때인 7세기 전반에 조성됐을 가 능성이 높은 것으로 한씨는 추정했다. 또 그는 도쿄국립박물관 소 장 호류지(法隆寺) 헌납보물인 무문동대도(無紋銅大刀)의 칼집이 나 호류지 옥충주자(玉蟲廚子)의 장식금구 등 7세기 대로 편년되 는 일본 고대유물에서도 동일한 계통의 문양이 나타나고 있어 직 접적인 영향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최영창기자 ycchoi@munhwa.com
기사제공 : 출처 : 나라사랑글쓴이 : 나라사랑 원글보기메모 :'<인물산하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익산 `왕궁리 사리장엄구`는 백제 작품` (0) 2006.04.27 [스크랩] 고려 석탑서 어떻게 백제 유물이... (0) 2006.04.27 ((고도 익산 블로그))iksancom/7770798 (0) 2006.04.27 [스크랩] 與 익산시장 후보 경선에서 현직 시장 패배 (0) 2006.04.17 [스크랩] [전북 익산시장] 예선에 여·야·무소속 11명 (0) 2006.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