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와 익산시, 그리고 총선...)) |
|
족탈불급(足脫不及)이라는 말이 있다. "맨발로 뛰어도 미치지 못한다"는 뜻으로, '능력·역량·재질 등 차이가 뚜렷해 아예 비교가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이를 '새 발의 피'라는 뜻의 조족지혈(鳥足之血)이라 하는데 '필요한 양에 비해 너무도 적은 보잘 것 없는 분량'을 말할 때 자주 쓰인다. 경북 구미시와 익산시 경우가 바로 그렇다. 다른 것은 비슷한데 경제만은 아예 비교가 안 된다. 익산은 1읍 14면 14동에 507㎢, 구미는 2읍 6면 19동에 617㎢이다. 인구는 작년말 구미 35만여 명, 익산 33만여 명이다. 익산시 대부분 평야이고 북서에 함라산(240m) 등 낮은 산지가 이어지며 북동은 노령산맥 서쪽에 천호산(500m)·미륵산(430m) 등이 있다. 남쪽은 만경강이 북쪽은 금강이 흐른다. 구미시는 중앙이 낮은 분지형으로 남쪽에 금오산(977m) 등이 있다. 중앙에 낙동강과 감천이 흐른다. 익산이 호남선과 전라선 분기점이며 호남고속도로가 통과하면 구미는 경부선과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한다. 익산시는 95년 이리시와 익산군 도농통합에 의해 형성됐고 구미시는 같은 해 구미시와 선산군이 통합해 확장됐다. 최근 노무현 대통령은 구미시를 방문했다. 205억 불 수출을 기초 지자체 최초로 작년에 달성했기 때문이다. '수출 200억 불 달성' 경축행사에서 대통령은 "경제에 먹구름이 걷혀가고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구미 삼성전자를 찾아 근로자를 격려하고 "1등 제품만이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살아남는다"며 "수출에 더욱 힘써달라"고 주문했다. 당연히 축하 받아야 할 일이다. 그런데 마음 한 구석이 텅 비어 있는 느낌은 웬 일일까? 호남의 몰표를 받아 당선된 대통령이 개발된 지 불과 30여 년 밖에 안 된 도시에서 있은 2백억 달러 수출 축하행사에 참석한 것을 보고 낙후지역 주민들이 얼마나 허탈감에 빠져 있는지 알고 있을까? 더욱이 국정 최고책임자 최근 발언에서 '지역균형개발' 의지를 읽을 수 없어 유감이다. 사실 5. 16 이후 전북은 소외와 낙후가 아니라 철저히 내팽개쳐 왔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도권과 영남권에 대한 개발격차로 표현하기에는 정도가 심각하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해 '구미시와 전북도 수출'을 비교하면 가히 입이 찢어지고 만다. 구미시는 원래 박정희씨 고향, 선산군 구미면 한적한 산골이었다. 63년 구미면이 읍으로 승격됐고 70년대부터 '무공해전자도시'로 개발돼 78년 구미시로 승격됐다. 10. 26 일년 전의 일이다. 개발 30여 년 만에 우연인지 익산시 33만 인구보다 약간 많은 35만여 명이 됐다. 구미국가공단 1. 2. 3단지와 조성 중인 제4단지를 포함하여 720만평 공단에 614개 업체에다 농공단지 등의 소규모 공장을 합쳐 총 980개 업체에 8만여 근로자가 종사한다. 반도체, 컴퓨터, TV, 냉장고, LCD, 브라운관, 정보통신기기 등 무공해 첨단전자기기 위주로 지난해 수출목표 181억 불의 113.6%인 205억여 불에 달성했다. 전국수출 1,943억 3천만불의 10.4%라는 독점적 기록이다. 익산시가 아니라 전북도 여섯 배 안팎에 달하는 천문학적 규모이다. 최근 인구조차 구미시에 뒤쳐진 익산시는 아예 비교 대상이 되지 않는다. 낙후 전북은 엉뚱하게 전국 어디서도 가져가지 않는 '방폐장 위도 유치'를 치적인 양 하는 분위기조차 있다. 구미는 작년 하반기부터 산업생산이 월 3조원, 수출은 월 20억불 시대가 됐다. 무역수지는 지난해 124억불에 달해 전국흑자 80%를 차지했다. 악화된 여건에도 산업생산이 전년 동기에 비해 14.1%의 경이적 성장을 이뤄 36조를 넘는다. 수출은 디지털 전자산업 호조와 수출증대로 전년 147억불보다 38.4%나 기록적으로 증가한 205억불이 된 것이다. 엄청난 괴리와 박탈감을 느끼는 것이 잘못된 것일까? 역지사지로 익산시 수출액이 대구 경북 여섯 배 안팎에 달한다면 과연 대통령이 아무런 탈 없이 축하행사에 참여해 치사를 하고 근로자 격려가 가능했을지 몹시 궁금하다. 이번 총선에는 정당 불문하고 지역발전은 아랑곳하지 않고 금배지만 다시 달려는 입지자를 철저히 배제해야 한다는 여론은 지극히 정당한 것이다. 보다 과감하고 확고한 정부의 낙후지역 개발 의지가 뒤따라야 한다. '새 발'은 아니어도 '새 발의 발가락'이라도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 (데스크 칼럼) 제2사회부장, 고재홍 (제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