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미륵사지석탑 부실복원 논란!<칼럼사설수필> 2019. 3. 24. 13:11
<복원된 미륵사지석탑>2019/03/20
최근 공개된 미륵사지서탑과 멀리 미륵사지동탑이 서 있다.
동탑은 새로운 석재를 사용해 30억을 들여 9층 전체 를 복원했고, 서탑은 대부분 원래 있던 석재를 재사용해 6층 일부(비대칭) 해체복원에 225억을 들였다.
<칼럼> 미륵사지석탑 부실복원 논란!
“해체·복원된 ‘석탑石塔’인가, 돌무더기를 쌓은 ‘석축石築’인가? 석가공 명장이나 인간문화재, 석탑 문화재보수 자격증 보유자가 아닌 공무원과 역사가들이 주도해 엉터리 복원이 된 것입니다.”
구舊부재를 대부분 활용하고도 신新부재로 쌓은 미륵사지동탑 예산 30억 8배에 가까운 225억과 21년을 허비해 복원된 국보11호 미륵사지서탑에 주민과 관광객이 ‘한심한 복원’이라거나 심지어 “헐고 다시 세워야 한다.”며 분통이다.
석탑 공개 직전, 감사원 감사결과 “원형과 달리 복원됐으며 상·하부 축석방식이 다른 등 구조안정성 검토를 안 했다”고 드러나 시민단체에서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부실복원 논란에 책임을 져야 하며, 세계문화유산 이미지 훼손에 전북도민과 익산시민 정신적 충격에 보상”을 촉구했다.
특히 “발주처인 전북도는 부실복원에 입장을 내놓으라.”고 비판했다.
서탑 복원 자문위원을 지낸 김종원 씨도 5년 전부터 ‘비대칭 복원‘ 문제점을 줄기차게 거론한다.
당초 해체·복원은 전북도가 1998년 80억을 들일 계획으로 착수했다가 2001년 도와 대행협약으로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석탑보수정비사업단'이 맡아 07년까지 복원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해체도 안됐는데 80억을 소진해 140억으로 늘리며 '09년 해체완료하고 14년까지 과거 부재 등을 활용해 1~3층 '완전복원', 4~6층 '일부복원'키로 했다.
2009년 1월, ‘사리장엄’ 등 9천여점 유물이 쏟아져 해체도 지연돼 2010년 5월에야 1500여톤 부재를 완전 해체했다.
6층 부분복원(비대칭)인지, 6층 완전복원(대칭)인지 탁상공론으로 허송하다가 ‘기록보존(?)’을 명분으로 무수한 책자발행도 모자라 석탑 해체보고서와 발굴보고서 작성과 기본 및 실시설계를 명분으로 석탑복원은 지연됐다.
2012년 10월, 문화재청은 2층까지는 4면 완전복원, 3~6층은 서사면이 무너진 형태의 ‘6층 부분복원’을 확정해 총 195억을 들여 17년 복원키로 했다.
2013년 11월, ‘6층 부분복원 착수식’도 가진 바 있다.
그러나 1년6개월이 후인 2015년 5월, 당시 미륵사지전시관 '석탑 보수정비 현장설명회'에서 사학 교수 등은 '6층 부분(비대칭)복원'이 최선이라고 주장한 반면, 일부 석재인은 (사라진 3개 층을 합친) ‘9층 완전 대칭복원’이나 ‘6층 완전 대칭복원’ 논쟁이 벌어졌다.
비대칭은 기울거나 전도顚倒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때늦은 ‘복원방안’ 논쟁도 황당한데, 98년 이후 무수한 책자도 모자라 각종 보고서와 포럼, 세미나, 설명회로 예산 및 세월을 탕진했다.
이 기간에도 건축 5명, 보존과학 2명, 부여문화재연구소 파견 근무지원 발굴담당 1명, 사무직 1명 외에도 석공 1명, 일반인부 2명 등 현장인력 12명 등 보수와 인건비 대부분이 지급되는 어처구니였다.
차일피일·허송세월에 사업지연과 예산증액을 거쳐 80억→140억→195억→225억, 98년 착수해 준공연도는 2007년→14년→17년→19년으로 바뀌어 총 21년이다.
이달 21일, “문화재청이 석탑을 보수·정비하며 원형복원을 위한 사전검토도 없고 일관성 없이 ‘축석築石(돌 쌓음)’하니 상·하부 내부가 원형과 달리 층별로 달라졌다.”는 감사결과로 논란이다.
“문화재청이 2011년 보수정비 실시설계 용역을 하며 해체당시 확인된 축석방식 기술적 재현 가능성이나 구조적 안정성 등 원형복원을 위한 검토를 하지 않아 ‘하중을 하부에 전달’하는 상·하부 내부 적심이 다른 형태로 축석되는 등 일관성 없이 복원됐다.”는 것이다.
감사원은 문화재청장에 “구조안정성 검증 후, 결과에 따라 적절조치"를 요구했고, "추후 문화재 보수 시 원래 구조와 형식을 유지토록 구체적 검토와 계획으로 일관성”을 주의조치 했다.
문화재청은 “상·하 적심이 달라진 것은 석탑 구조적 안전성 확보와 역사적 가치보존을 함께 고려한 결과”라며 “배합재료 변경은 구조적 안정성에 큰 영향은 없다.”고 해명했다.
익산지역 시민단체인 ‘좋은정치시민넷‘은 성명에서 “석탑은 국내 현존석탑 중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석탑으로 익산상징 유물이다. 원형대로 복원되지 않았고, 실측 설계도도 없이 축석됐다는 감사원 발표는 매우 충격적으로 분노를 금치 못한다.”며 “석탑내부가 사전검토도 없이 원형과 달리 층별로 다르게 복원됐고, 내부 적심 축석에 안전성 검토와 실측설계도서 없이 진행은 있을 수 없다.”고 성토했다.
특히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석탑 부실복원 논란에 책임을 져야 하며,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이미지 훼손, 전북도민과 익산시민 정신적 충격에 보상 촉구와 발주처인 전북도는 부실복원 사태에 책임 있는 입장을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서탑 복원자문위원을 지낸 김종원 씨도 “예견된 일이다. ‘탑이 균형이나 대칭을 이뤘는가‘ 사전 점검하는 ’고증설계’가 없었고, 행정공무원과 역사가만 있을 뿐 하중 등에 대한 석재전문가 소외, 무려 1백 톤이 한쪽으로 쏠린 ‘비대칭 복원’은 지진 등 진동이나 재해에 기울거나 전도·붕괴될 수 있고, 감사원 지적도 타당하다.”며 “일부 비대칭 복원 층만이라도 해체 후 대칭복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익산석재인들은 "225억과 21년을 탕진한 해체·복원 부실논란은 석탑건립 경험이 없는 공무원과 역사학자들이 주도해 벌어진 것"이라며 “‘발굴 사업 및 직장’으로 전락했으며 30억으로 2700톤 새로운 석재를 활용해 복원한 9층 ‘동탑’ 절반가량인 원래 부재 1500여톤 ‘서탑’ 복원 등에 엄청난 세월과 예산도 황당한데 ‘부실복원’도 예견된 것 아니냐”고 혹평했다.
"최악의 문화재복원으로 폭파시키고 싶다."는 평가까지 나온 미륵사지 동탑에 이어 준공 직전에 부실복원 논란에 휩싸인 서탑은 '젯밥에만 관심을 쓴 탓'이다는 여론이다. /취재국장 고재홍>
==================================================================
<칼럼> 미륵사지석탑 부실복원 논란!
“해체·복원된 ‘석탑石塔’인가, 돌무더기를 쌓은 ‘석축石築’인가? 석가공 명장이나 인간문화재, 석탑 문화재보수 자격증 보유자가 아닌 공무원과 역사가들이 주도해 엉터리 복원이 된 것입니다.” 구舊부재를 대부분 활용하고도 신新부재로 쌓은 미륵사지동탑 예산 30억 8배에 가까운 225억과 21년을 허비해 복원된 국보11호 미륵사지서탑에 주민과 관광객이 ‘한심한 복원’이라거나 심지어 “헐고 다시 세워야 한다.”며 분통이다.
석탑 공개 직전, 감사원 감사결과 “원형과 달리 복원됐으며 상·하부 축석방식이 다른 등 구조안정성 검토를 안 했다”고 드러나 시민단체에서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부실복원 논란에 책임을 져야 하며, 세계문화유산 이미지 훼손에 전북도민과 익산시민 정신적 충격에 보상”을 촉구했다. 특히 “발주처인 전북도는 부실복원에 입장을 내놓으라.”고 비판했다. 서탑 복원 자문위원을 지낸 김종원 씨도 5년 전부터 ‘비대칭 복원‘ 문제점을 줄기차게 거론한다.
당초 해체·복원은 전북도가 1998년 80억을 들일 계획으로 착수했다가 2001년 도와 대행협약으로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석탑보수정비사업단'이 맡아 07년까지 복원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해체도 안됐는데 80억을 소진해 140억으로 늘리며 '09년 해체완료하고 14년까지 과거 부재 등을 활용해 1~3층 '완전복원', 4~6층 '일부복원'키로 했다.
2009년 1월, ‘사리장엄’ 등 9천여점 유물이 쏟아져 해체도 지연돼 2010년 5월에야 1500여톤 부재를 완전 해체했다. 6층 부분복원(비대칭)인지, 6층 완전복원(대칭)인지 탁상공론으로 허송하다가 ‘기록보존(?)’을 명분으로 무수한 책자발행도 모자라 석탑 해체보고서와 발굴보고서 작성과 기본 및 실시설계를 명분으로 석탑복원은 지연됐다. 2012년 10월, 문화재청은 2층까지는 4면 완전복원, 3~6층은 서사면이 무너진 형태의 ‘6층 부분복원’을 확정해 총 195억을 들여 17년 복원키로 했다. 2013년 11월, ‘6층 부분복원 착수식’도 가진 바 있다.
그러나 1년6개월이 후인 2015년 5월, 당시 미륵사지전시관 '석탑 보수정비 현장설명회'에서 사학 교수 등은 '6층 부분(비대칭)복원'이 최선이라고 주장한 반면, 일부 석재인은 (사라진 3개 층을 합친) ‘9층 완전 대칭복원’이나 ‘6층 완전 대칭복원’ 논쟁이 벌어졌다. 비대칭은 기울거나 전도顚倒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때늦은 ‘복원방안’ 논쟁도 황당한데, 98년 이후 무수한 책자도 모자라 각종 보고서와 포럼, 세미나, 설명회로 예산 및 세월을 탕진했다. 이 기간에도 건축 5명, 보존과학 2명, 부여문화재연구소 파견 근무지원 발굴담당 1명, 사무직 1명 외에도 석공 1명, 일반인부 2명 등 현장인력 12명 등 보수와 인건비 대부분이 지급되는 어처구니였다. 차일피일·허송세월에 사업지연과 예산증액을 거쳐 80억→140억→195억→225억, 98년 착수해 준공연도는 2007년→14년→17년→19년으로 바뀌어 총 21년이다.
이달 21일, “문화재청이 석탑을 보수·정비하며 원형복원을 위한 사전검토도 없고 일관성 없이 ‘축석築石(돌 쌓음)’하니 상·하부 내부가 원형과 달리 층별로 달라졌다.”는 감사결과로 논란이다. “문화재청이 2011년 보수정비 실시설계 용역을 하며 해체당시 확인된 축석방식 기술적 재현 가능성이나 구조적 안정성 등 원형복원을 위한 검토를 하지 않아 ‘하중을 하부에 전달’하는 상·하부 내부 적심이 다른 형태로 축석되는 등 일관성 없이 복원됐다.”는 것이다. 감사원은 문화재청장에 “구조안정성 검증 후, 결과에 따라 적절조치"를 요구했고, "추후 문화재 보수 시 원래 구조와 형식을 유지토록 구체적 검토와 계획으로 일관성”을 주의조치 했다.
문화재청은 “상·하 적심이 달라진 것은 석탑 구조적 안전성 확보와 역사적 가치보존을 함께 고려한 결과”라며 “배합재료 변경은 구조적 안정성에 큰 영향은 없다.”고 해명했다.
익산지역 시민단체인 ‘좋은정치시민넷‘은 성명에서 “석탑은 국내 현존석탑 중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석탑으로 익산상징 유물이다. 원형대로 복원되지 않았고, 실측 설계도도 없이 축석됐다는 감사원 발표는 매우 충격적으로 분노를 금치 못한다.”며 “석탑내부가 사전검토도 없이 원형과 달리 층별로 다르게 복원됐고, 내부 적심 축석에 안전성 검토와 실측설계도서 없이 진행은 있을 수 없다.”고 성토했다. 특히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석탑 부실복원 논란에 책임을 져야 하며,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이미지 훼손, 전북도민과 익산시민 정신적 충격에 보상 촉구와 발주처인 전북도는 부실복원 사태에 책임 있는 입장을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서탑 복원자문위원을 지낸 김종원 씨도 “예견된 일이다. ‘탑이 균형이나 대칭을 이뤘는가‘ 사전 점검하는 ’고증설계’가 없었고, 행정공무원과 역사가만 있을 뿐 하중 등에 대한 석재전문가 소외, 무려 1백 톤이 한쪽으로 쏠린 ‘비대칭 복원’은 지진 등 진동이나 재해에 기울거나 전도·붕괴될 수 있고, 감사원 지적도 타당하다.”며 “일부 비대칭 복원 층만이라도 해체 후 대칭복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익산석재인들은 "225억과 21년을 탕진한 해체·복원 부실논란은 석탑건립 경험이 없는 공무원과 역사학자들이 주도해 벌어진 것"이라며 “‘발굴 사업 및 직장’으로 전락했으며 30억으로 2700톤 새로운 석재를 활용해 복원한 9층 ‘동탑’ 절반가량인 원래 부재 1500여톤 ‘서탑’ 복원 등에 엄청난 세월과 예산도 황당한데 ‘부실복원’도 예견된 것 아니냐”고 혹평했다. "최악의 문화재복원으로 폭파시키고 싶다."는 평가까지 나온 미륵사지 동탑에 이어 준공 직전에 부실복원 논란에 휩싸인 서탑은 '젯밥에만 관심을 쓴 탓'이라는 여론이다./취재국장 고재홍>
'<칼럼사설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안호영 측근의 매수혐의와 총선판도? (0) 2019.04.02 <칼럼> 낭산폐기물과 민관협약·통계발표! (0) 2019.04.01 <칼럼> 전북의 자랑· 마지막 자존심 상산고! (0) 2019.03.18 <칼럼> 조합장 선거와 조합 개선 절실! (0) 2019.03.15 <칼럼> 전북도가 외지 폐기물 집하장인가? (0) 2019.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