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전북도,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사업 본격추진
    한옥도시계획행정구역특구지명 2017. 3. 9. 13:41




    북도,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사업 본격추진

     

    -전주시 도시재생활성화계획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완료 - 도내 곳곳에서 도시재생사업 활발히 진행중

     




    전라북도는 원도심의 공동화를 방지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도내 곳곳에서 도시재생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지난 3월9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전주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승인을 위한 심의 절차를 완료하였다.
     


    전주시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은 2016년 도시재생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토부 1, 2차 심사를 거쳤으며 올 1월 국가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국가지원사항을 확정하는 등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전주시 도시재생사업은 행정·업무·상업 중심지였던 원도심을 살리는 중심시가지형 마중물사업으로 “전통문화 중심의 도시재생”을 목표로 중앙동 일원(1.37㎢)에 182억원(국비 91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한옥마을과 남부시장을 연계한 전라감영주변 특화거리 조성 등 13개 세부사업을 통해 전통문화거점기능 및 원도심 위상을 강화함으로써 도시 관광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전북도내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총 482억원(군산 200, 전주 182, 남원 100)규모다.


    「2016년 국토부 도시재생 선도사업 평가 및 주민참여 프로그램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전국적으로도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사례로 평가 받고있는 군산시 도시재생활성화 사업은,


    2014년 도시재생 선도 지역으로 선정돼 개항이후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테마로 및 근대역사경관조성을 연계해 관광객 수가 사업추진 이전인 2013년 22만명에서 2016년 102만명으로 5배가 급증하는 획기적인 성과를 거둬 원도심에 활기를 불어놓고 지역경제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이번에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전주시 도시재생사업은 마중물사업을 시작으로 구도심에서 추진 중인 사업간 연계를 유도하고 민간투자도 이끌어낼 계획이다.
     


    또 전주시 자체사업과 중앙부처 협업사업 등을 통해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를 통한 도시재생을 비전으로 감영지구, 공공기관거점지구 등 지구간 연계를 강화하고 주민참여 및 사회적 협의를 통해 재생성과의 지속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한편 도시재생사업의 가장 큰 부작용인 젠트리피케이션, 즉 기존주택 및 상가 전·월세 등 임대료 인상으로 인한 원주민의 피해에 대한 대책으로 「전주시 지역상생 협력에 관한 기본조례」를 제정하고, 전월세 안정화를 위한 건축주 협정 등의 보완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향후 전주시 노송동에 위치한 도시재생혁신센터를 통해 다양한 주민의 의견을 청취하고, 주민역량강화를 위해 도시재생대학 등의 운영을 통해 주민이 주체가 되는 도시재생사업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전주시 도시재생사업이 완료되면 한옥마을과 남부시장, 전라감영, 영화의 거리, 전통문화지구를 순환하는 명실 공히 전라북도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참고 1

    쇠퇴한 원도심 도시재생 사업내역


                                                               (단위 : 백만원)

    사 업 명
    사업기간
    사 업 내 용
    연도별 투자계획

    ’15까지
    ’16년
    ’17년
    ’18년이후


    48,200
    10,000
    6,680
    6,514
    25,006
    군    산
    선도지역
    도시재생
    ’14~’17
    (4개년)
    ·창조적 상생을 통한 근대역사문화도시 구현을 위한 8개 사업 착수
     - 근대건축물 보전·정비 지원사업
     - 블록단위 주거재생 시범사업
     - 보행자 중심 상가 가로 경관정비사업
     - 음식명가 발굴사업
     - 창조기업 플라자 조성
     - 하버파크 조성사업
     - 도시재생 역량강화사업
     - 주민참여 챌린지 프로젝트사업
    20,000
    10,000
    6,000
    4,000
    -
    전    주
    도시재생
    ’15~’20
    (5개년)
    ·한옥마을 등 기존재생 성과의 연계 확산을 통한 전통문화 도시 조성
    ·감영지구 거점강화사업
     - 전라감영로 특성화사업
     - 고물자골목 재생사업
     - 남부 문화창의센터
    ·공공기관지구 거점강화
    ·지구간 연계강화
    ·지속가능성 확보
      - 원도심 주민역량강화사업 등
    18,200
    -
    444
    1,644
    16,112
    남    원
    도시재생
    ’15~’20
    (5개년)
    ·광한루원과 구남원역 구간 연계 정비 및 문화예술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전략계획 활성화지역
     - 향교동 구남원역사, 금동 광한루원 주변
     - 동충동, 죽항동 전역
     - 신시가지, 역세권, 배후주거, 춘향테마파크, 노암산업단지, 광치산업단지 등 배후권역
    10,000
    -
    236
    870
    8,89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