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익산시 ‘30만 인구지키기’ 대책, 가시적 성과
    인구청년임신출산은퇴지역소멸 2017. 2. 2. 11:15

     

     

     

     

     

     

     

     

    익산시 ‘30만 인구지키기 대책, 가시적 성과

     

     

     

     

     

     

    - 인구정책계 신설, 인구늘리기 강화 전담

     

    - 조례 제정(1) 및 개정(1) 요구, 인센티브 지원, 출산장려금 대폭확대 등

     

    - 문화역사도시 조성, 생활정주여건 개선, 살고싶은 도시건설로 인구유입 최선

     

     

     

     

     

    정헌율 익산시장이 지난해 4월 취임 후부터 인구늘리기에 박차를 가한 결과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자 올 123일자 조직개편을 통해 인구정책계를 신설하고 중장기계획을 수립·추진해 인구정책을 더욱 강화한다.

     

     

     

     

     

    2일 오전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밝힌 익산시 미래를 위한 인구증가 추진계획에서 단기계획은 6대 시책인 인구정책계획수립, 출산장려 조례개정, 인구증가책 지원 조례제정, 인센티브 지원,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 영유아 보건사업 확대시행이 있고, 중장기계획은 4대 시책으로 기업유치, 출산장려보육시책 강화, 정주여건 개선, 귀농귀촌 등 인구유입 강화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3월중 익산시 인구증가시책 지원 조례(가칭)’ 제정으로 전입대학생 장학금지원, 인구증가 유공단체 지원 등의 시책을 계획 중이며, ‘출산장려 지원조례개정을 통해 출산장려금을 첫째 50만원, 둘째 2백만원, 셋째 3백만원, 넷째 5백만원, 다섯째 이상 1천만원으로 대폭 상향 등 적극적인 인구늘리기 운동을 전개한다.

     

     

     

     

     

     

    이 외에도 정 시장은 취임직후, 인구증가 계획을 세우고 60개 과제를 추진했으며 1직원 1명이상 실거주 미전입자 전입 등 인구증대에 행정력을 집중해 작년 하반기 이후 감소폭이 줄어 16년 말 30,479명으로 30만명을 지켜냈으며, 1월에는 582명이 증가해 1월말 301061명으로 증가했다.

     

     

     

     

     

     

    최근 2년 간 매달 평균 180가량 감소했는데 이번 인구증가는 시장을 비롯한 전직원의 사활을 건 노력의 성과로 특히 익산시 세무과는 실거주 미전입자 파악 후 가가호호 방문으로 관외 주소자 전입유도로 지방세 확충과 인구증가에도 효과를 거두어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성과를 거두었다.

     

     

     

     

     

     

    익산시 행정지원과는 군부대 아파트를 방문해 부대원에 주소갖기운동을 펼쳐 군부대 간부의 적극협조를 이끌었고, 읍면동에서는 통리장, 주민자치위원이 유관단체와 인구늘리기 범시민운동캠페인 등 시민 모두 혼연일체가 돼 일궈낸 성과라 평가했다./익산 고재홍 기자>

     

     

     

     

     

     

     

     

     

     

     

     

     

     

     

     

    - 익산시 미래를 위한 인구증가 추진계획 -

     

     

       

    브 리 핑 자 료

    2017. 2. 2.() 10:00

    익산시 프레스센터 (1)

     

     

                                          

    익 산 시

     

     

     

    익 산 시

    익산시 미래를 위한 인구증가 추진계획

     

    연도별 인구현황

    (단위 : )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1)

    비 고

    인 구 수

    309,804

    306,469

    306,539

    304,117

    302,061

    300,479

    301,061

     

    전년대비

     

    -3,335

    70

    -2,422

    -2,056

    -1,582

    582

     

    2013년 인구증가 원인 : 인구늘리기 추진(군부대 전입독려, 전방 등 기업 유치)

    20171월 인구증가 원인 : 인구늘리기 추진(전직원 및 부서별 전입운동 추진)

    [인구증가 추진 후 인구변동추이]

    2011(309,804)-2016(300,479) 9,325명 감소 (월평균 156)

    2011 ~ 2015년 인구 7,743명 감소 (월평균 161)

    2016. 6 ~ 2016. 12월 인구 723명 감소 (월평균 103)

    전직원 인구증대 추진실적 (단위 : )

    구 분

    6

    7

    8

    9

    10

    11

    12

    2017

    (1)

    합 계

    비고

    총계

    181

    553

    424

    361

    263

    418

    456

    1,093

    3,749

    부서별 추진과제

    181

    106

    22

    173

    95

    158

    27

    34

    796

    1직원 1명 전입운동

     

    447

    402

    188

    168

    260

    429

    1,059

    2,953

    전직원이 실거주 미전입자 전입운동을 꾸준히 전개하여 소기의 성과를 거둠

     

    인구 감소원인

    일자리 및 교육 등으로 부모세대(30~40) 전출에 따른 자녀세대 미취학아동(0~6)과 초고학생(7~18) 감소

    전국적인 출생율 감소에 따라 우리시도 매월 출생자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사망자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

    타시군에 비해 출산장려 지원이 상대적으로 낮음(타시군 첫째부터 지원이 늘고 있으며, 지원예산도 증가)

    문 제 점

    현재와 같은 저출산, 고령화 및 수도권 규제완화 속에서 인구는 급속히 감소 추세로 이대로 가다가는 인구 30만명이 무너질 전망

    인구 30만명 미만으로 감소시 문제점

    30만명을 2년 연속하여 매년 100분의 10이상(27만명)을 미달하는 경우 1개국 4개과 최소 50명 이상의 정원 축소

    지방교부세 산정시 일반행정비 등 4개분야 17개 측정항목 중 3분야 5개 측정항목에서 인구수가 측정단위로 사용되므로 인구감소 지방교부세가 감소

    국회의원선거구 상한선은 271,564명이며 따라서 상한선 미만으로 감소하게 되면 국회의원수가 2명에서 1명으로 축소

     

     

     

     

     

    금후계획(대책)

    [단 기]

    인구정책계 신설(2017.1.23.일자)로 인구정책 종합계획수립 추진 : 2월중

    첫째아에 대한 장려금 지원 확대 및 출산장려 조례 개정 : 3월중

    인구증가시책 지원 조례 신규 제정 (각종 전입정책 추진) : 3월중

    인구증가 우수 기관단체 인센티브 지원계획 : 연중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34백만원) : 6, 12

    모성 및 영유아 보건사업(난임부부 의료비지원 등) 확대 시행 : 연중

    [장기]

    산업단지 및 국가식품클러스터 관련 기업유치

    출산장려보육시책 강화

    생활 정주여건(교육, 보육, 주거, 문화, 복지, 환경 등) 개선

    귀농귀촌 등 인구유입 시책 강화

     

     

     

     

     

     

    익산시 증감 참고자료

     

     

    인구현황

    연령별 인구변동추이

    (단위 : )

    구 분

    6

    7

    8

    9

    10

    11

    12

    증감

    (6/12)

    비고

    인 구 수

    301,048

    301,340

    301,396

    301,204

    300,966

    300,798

    300,479

    723

     

    전월대비 증감

    154

    292

    56

    192

    238

    168

    319

     

     

    0~6

    17,416

    17,428

    17,401

    17,376

    17,296

    17,234

    17,147

    292

     

    7~12

    16,791

    16,737

    16,720

    16,676

    16,626

    16,531

    16,483

    335

     

    13~18

    22,252

    22,183

    22,086

    21,971

    21,856

    21,798

    21,720

    662

     

    19~29

    42,644

    42,735

    42,775

    42,750

    42,791

    42,888

    42,856

    168

     

    30~39

    37,071

    37,117

    36,992

    36,894

    36,795

    36,653

    36,384

    722

     

    40~49

    49,184

    49,139

    49,081

    48,927

    48,789

    48,714

    48,676

    585

     

    50~65

    70,901

    70,979

    71,149

    71,288

    71,401

    71,461

    71,614

    758

     

    66세이상

    44,789

    45,022

    45,192

    45,322

    45,412

    45,519

    45,599

    947

     

     

     

     

     

     

     

     

    전출입현황

    구분

    6

    7

    8

    9

    10

    11

    12

    비고

    순이동

    (A-B)

    196

    281

    47

    194

    232

    132

    273

    699

     

    도내

    43

    239

    103

    4

    51

    152

    99

    7

     

    타시도

    153

    42

    56

    190

    181

    20

    174

    692

     

    전입(A)

    1,204

    1,463

    1,573

    1,099

    1,172

    1,339

    1,514

    9,364

     

    도내

    498

    640

    646

    463

    473

    526

    614

    3,860

     

    타시도

    706

    823

    927

    636

    699

    813

    900

    5,504

     

    전출(B)

    1,400

    1,182

    1,526

    1,293

    1,404

    1,471

    1,787

    10,063

     

    도내

    541

    401

    543

    467

    524

    678

    713

    3,867

     

    타시도

    859

    781

    983

    826

    880

    793

    1,074

    6,196

     

     

     

     

     

     

     

    출생사망말소현황

    구분

    6

    7

    8

    9

    10

    11

    12

    비고

    출 생

    174

    167

    154

    172

    158

    131

    141

    1,097

     

    사 망

    152

    169

    155

    182

    175

    178

    193

    1,204

     

    주민등록말소

    16

    20

    18

    64

    29

    19

    13

    179

     

     

     

     

     

     

    전라북도 인구 증감현황

    (단위 : , 2016.12현재)

    행정기관

    2014

    (A)

    2015

    (B)

    2016

    (C)

    15

    인구증감

    (B-A)

    16

    인구증감

    (C-B)

    비고

    합 계

    1,871,560

    1,869,711

    1,864,791

    1,849

    4,920

     

    전주시

    652,877

    652,282

    651,744

    595

    538

     

    군산시

    278,098

    278,398

    277,551

    300

    847

     

    익산시

    304,117

    302,061

    300,479

    2,056

    1,582

     

    정읍시

    117,183

    115,977

    115,173

    1,206

    804

     

    남원시

    85,643

    84,856

    84,188

    787

    668

     

    김제시

    90,108

    88,721

    87,782

    1,387

    939

     

    완주군

    90,377

    95,303

    95,480

    4,926

    177

     

    진안군

    26,474

    26,203

    26,069

    271

    134

     

    무주군

    25,390

    25,220

    24,949

    170

    271

     

    장수군

    23,335

    23,277

    23,628

    58

    351

     

    임실군

    29,966

    30,271

    30,197

    305

    74

     

    순창군

    30,368

    30,248

    29,949

    120

    299

     

    고창군

    60,090

    60,046

    60,597

    44

    551

     

    부안군

    57,534

    56,848

    57,005

    686

    157

     

    인구증가 시군 - 완주군 : 혁신도시 인구 유입

    - 장수군 : 전입운동 전개로 관내 유관기관, 단체, 보조사업장 등 실거주자 주소이전

    - 고창군 : 직원 1직원 6명 전입운동 전개로 인한 인구 유입

    - 부안군 : 직원 전입운동 전개 및 귀농귀촌으로 인한 인구 유입

     

     

     

     

     

    전북도내 출산장려금 지원 현황

    시 군 명

    지 원 항 목

    지 원 내 용

    비고

    전주시

    셋째아 이상 출생아 자녀양육비 지급

    자녀양육비 월100,000×1×12

     

    둘째아 출생 축하금 지원

    출생아 1인당 300천원

     

    군산시

    출산장려금 지원

    첫째 100,000, 둘째 300,000, 셋째 1,000,000

    넷째이상 3,000,000(2회 분할)

     

    장애인가정 출산지원금 지급

    신생아의 부모 장애정도에 따라 차등지급(70~150만원)

     

    익산시

    출산장려금 지원

    둘째 30만원, 셋째 80만원, 넷째 200만원, 다섯째이상 500만원

     

    20173월 조례개정을 통해 첫째 50만원, 둘째 200만원, 셋째 300만원,

    넷째 500만원, 다섯쨰이상은 1,000만원으로 상향예정

    (2017년 하반기중 추경예산확보후 시행 예정)

    임산부 건강관리비 지원

    1인당 26만원(소득과 관계없이 지원)

     

    정읍시

    출산장려금 지원

    첫째 30만원, 둘째 100만원, 셋째 300만원(10회분할), 넷째이상 1천만원(20회분할)

     

    다자녀 학자금 지원

    셋째 고등학생 학자금 지원

     

    출생아 의료비 지원

    생후 6개월 이내 영아 입원치료비 최고 50만원까지 지원

     

    다문화가정 산후조리비 지원

    산후조리비 최고 80만원 지원

     

    남원시

    출산지원금 지원

    첫째 50만원, 둘째 100만원 셋째 300만원, 넷째이상 400만원

     

    산후조리지원금

    셋째아 이상 50만원

     

    산모신생아 가정간호 서비스

    2(치료적간호, 기본적간호, 교육, 상담)

     

    여성장애인 출산가정 출산지원금 지원

    출산 시 태아 1인 기준 1백만원 지원

     

    다자녀(넷째이상) 육아용품 지원

    다자녀(넷째이상) 육아용품 지원(카시트)

     

    김제시

    출산장려금 지원

    둘째100만원, 셋째200만원, 넷째300만원,

    다섯째500만원, 여섯째800만원, 일곱째이상 1,000만원

     

    장애인 출산가정 출산지원금 지원

    신생아의 부모 장애등급에 (70만원~150만원 지급)

     

    완주군

    출산장려금 지원

    첫째 30만원, 둘째 70만원, 셋째이상 600만원

     

    진안군

    출산장려금지원

    첫째둘째 220만원, 셋째 이상 1,000만원

     

    무주군

    출산장려금

    첫째 50만원, 둘째 120만원, 셋째 360만원

    넷째 480만원, 다섯째이상 600만원

     

    양육비

    출생아 1인당 50만원

     

    장수군

    출산장려금 지원

    첫째50만원, 둘째100만원, 셋째300만원

    넷째500만원, 다섯째이상 1,000만원

     

    임실군

    출산장려금 지원

    첫째50만원, 둘째100만원, 셋째200만원, 넷째이상 300만원

    최저

    순창군

    출산장려금 지원

    (축하금, 양육비, 특별출산장려금)

    첫째 300만원, 둘째 460만원, 셋째 1,000만원

    넷째이상 1,500만원

    최고

    마더박스(육아용품) 지원

    신생아 용품 10종이상(귀체온계 등 20만원 상당)

     

    고창군

    출산장려금 지원

    둘째 150만원, 셋째 500만원, 넷째 700만원, 다섯째이상 1,000만원

     

    신생아 용품 지원

    신생아 용품 마더박스 외 8, 출생축하선물(매트 등)

     

    부안군

    출산장려금 지원

    첫째100만원, 둘째200만원, 셋째 600만원,

    넷째 800만원, 다섯째이상 1,000만원

     

    셋째아 건강보험료 지원

    셋째아 건강보험료 지원(2만원씩 5년간)

     

    군산시 등 10개 시군 첫째아 지원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