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칼럼> 흔들리는 생거부안生居扶安의 인구추락
    <칼럼사설수필> 2015. 5. 27. 23:07

     

     

     

     

     

     

     

    <칼럼> 흔들리는 生居扶安의 인구추락

     

     

     

     

     

    “인구급감으로 생거부안生居扶安이 흔들리고 생거불안生居不安이란 말이 나돈다."

     

     

     

    올해 4월말, 부안인구는 57416명으로 사거순창死居淳昌 29439명보다 27977명이 많을 뿐이다.

     

     

     

    고창보다 2346명이 적어 도내 14개 시군에서 9위로 임실. 순창. 진안. 무주. 장수군에만 앞설 뿐이다.

     

     

     

     

     

     

     

    1966175044명이던 부안인구가 1/3로 급감하는 사이 전국인구가 2498만에서 5139만명으로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2.3세를 포함, 30만명이 외지에 살고 1/6만 남은 셈이다.

     

     

     

     

    비옥하고 물산이 풍부한 진천에 살다가 아름다운 산기슭의 용인에 묻힌다생거진천사거용인이란 말이 있듯, 전북에는 양택인 부안에 살고 음택인 순창에 묻힌다생거부안사거순창이란 말이 있다.

     

     

     

    푸른 바다와 황금 들판, 겨울 설경 및 녹음과 단풍으로 청황백녹적의 변산반도는 삼대삼풍三大三豊의 고을이자 병란과 기근을 피하기 좋은 십승지十勝地에 포함된다.

     

     

     

     

    곡식과 짐승, 산나물은 물론 변산 소나무는 궁궐과 사찰 목재로 쓰일 정도로 임산물도 풍성했다.

     

     

     

    위도 칠산바다의 조기잡이 철, 파시에는 어부들의 노랫가락으로 흥청거렸다.

     

     

    곰소갯벌과 소금, 젓갈도 유명하다.

     

     

     

     

     

     

     

    공업이 없던 사농공상 시절, 어염시초魚鹽柴草(물고기·소금·땔감·산나물)가 풍부해 고향인 부안 하서의 청호마을은 영조 때 암행어사 박문수가 남겼다던 조선팔도에서 가장 살기 좋은 생거부안이란 말의 근원지다.

     

     

     

    시인묵객과 선비의 발길도 끊이지 않아 부안삼절扶安三絶로 이매창과 유희경, 직소폭포가 꼽힌다.

     

     

     

     

    산내들바다가 어우러진 부안은 1416(태종 16) 부령과 보안이 부안현으로 합병된 후, 2016년을 부안 정명 6백주년으로 선포하고 미래상을 만들고자 노력한다.

     

     

     

    6만도 무너진 참담한 현실에 처절한 몸부림이 아닐 수 없다.

     

     

     

     

    부안인구는 199210만명이 무너졌고, 20107, 사상최초 6만명이 붕괴됐다가 인구늘리기로 일시 6만명을 회복했으나 인구는 다시 추락했다.

     

     

     

    급기야 4월말, 부안인구는 도내 9위로 산간지역인 임실. 순창. 진안. 무주. 장수군을 제외하면 꼴찌다.

     

     

     

     

    다행히 민선6기 김종규 부안군수는 취임 후 인구6만 회복을 위한 아름다운 동행을 천명하고 내주소 갖기, 귀농귀촌 활성화, 청년층 유입 등을 추진해 그나마 위안이다.

     

     

     

    부안읍도 해 떨어지기 무섭게 인적이 끊겨 적막감까지 감돈다.

     

     

     

     

     

     

     

    교육과 직장을 따른 이농과 함께 저출산. 고령화라는 전국적 현상과 함께 수산양식업에서 천문학적 소득을 누려왔던 새만금이 1991년 이후 4반세기를 수산양식업도 못하고 농사도 못 지으며 공장도 세울 수 없는 바다도 아닌 것이 땅도 아닌 것이공사만 진행되며 허송한 것과 무관치 않다.

     

     

     

    김과 바지락 등으로 한 해 수천억 씩 쏟아지던 황금바다와 갯벌에서 기약도 없이 25년을 보낸 것이 큰 원인이다.

     

     

     

    새만금과 수질개선에 7조원 안팎이 들어갔다면 그간 수산물 생산감소라는 기회비용’(opportunity cost)10조에 달한다.

     

     

     

    착공당시 1kg3천원이던 '주꾸미'는 3~4만원을 호가한다.

     

     

     

    서해안고속도로로 수도권 관광객 급증과 소득증대에 어획량 감소로 처다 보지도 않던 '전어'까지 금값이다.

     

     

     

    넥타이 매고 온 사람은 외상을 주지 말되, (양식업으로 유명하던) 부안 계화도에서 장화 신고 온 사람은 무조건 외상을 주라거나 개도 만 원을 물고 다닌다던 시절이 그립다.

     

     

     

     

     

     

     

    전국적으로 포화상태인 미분양 산단과 수도권 규제완화 및 사상최악의 불경기로 기업유치가 난망한 도내에서도 부안은 더욱 암담하다.

     

     

     

    새만금 주요사업에도 소외되고 행정구역개편은 미지수이며, 전남은 섬마다 수천억씩 퍼부으며 연육. 연도교가 착착 건설되는데 관광객이 몰리는 변산반도와 선운사를 연결할 부창대교는 물론 격포~줄포' 4차선화도 아득하다.

     

     

     

    행정과 정치인이 국비확보에 몰두는커녕 방향감각 상실과 안목부족에다 비리에 연루된 군수의 연이은 낙마와 구속사태는 출향인을 부끄럽게 한다.

     

     

     

    아무 것도 안하고도 예산만 나오면 전부 내가 했다는 식의 자화자찬 식 보도자료를 돌려 주민을 현혹하는 무능한 정치인에 대한 맹목적 몰표도 문제다.

     

     

     

    생거부안회복을 위한 근본대책이 절실한 시점이 아닐 수 없다./편집위원 고재홍>

     

     

     

     

     

     

     

     

    주민등록인구통계

    (단위 : )

     

    연도

    부안

    고창

    전북

    전국

    1966

    175,044

    196,433

    2,395,224

    24,989,241

    1992

    92,812

    95,858

    2,028,956

    44,512,117

    2003

    68,256

    70,117

    1,962,867

    48,823,837

    2015. 4월말

    57,416

    59,762

    1,869,900

    51,395,238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