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체되는 호남, 위기의 민주당<칼럼사설수필> 2013. 8. 25. 21:32
해체되는 호남, 위기의 민주당
올해 5월말, 호남인구가 충청인구에 추월당했다.
일부 언론은 “조선 태종이 호구조사를 한 이래 6백여년 만에 충청권 인구에 뒤쳐졌다”고 보도했다.
실제 조선과 일제강점기는 물론 광복 후까지 충청권의 1.5~2배나 되는 인구가 호남에 살았다.
그런데 2013년 5월말 역전됐다.
호남인구는 525만136명인 충청인구보다 408명이 적다.
예상됐지만 가히 충격이다.
역전의 속도도 눈부시다.
두 달 만인 7월말, 525만6611명인 충청인구는 호남보다 6656명이 많아 한 달 평균 3천여명씩 차이를 벌리고 있다.
연간 4만명에 육박하는 무서운 속도다.
충남 서북부와 충북 개발 여파로 더욱 극심해질 전망이다.
1915년 일제가 島制를 실시하며 전라남도 제주도(島)라 했다가 1946년 전남도 관할에서 분리되며 별개의 도(道)로 승격된 점을 감안해 육지만을 비교해도 한 번도 역전된 적이 없는 최초 사건이다.
1949년 전국인구 점유율은 영남 31%, 호남 <25%>, 충청 16%였고, 60년에도 각각 32%, 24%, 16%로 비슷했다.
그러나 6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가 경부축인 수도권과 영남권에 집중되며 호남권은 이농과 인구유출이 극심했다.
그나마 충청권은 경부축 중심과 수도권에 가까운 이점 때문에 유출속도가 느렸으며, 수도권의 포화로 10여년 전부터 집중개발되며 인구가 급증한다.
호남인만 서울. 경기. 인천으로 부산. 울산. 경남. 경북에 대전. 충청. 제주로 뿔뿔이 흩어졌다.
60년말 2499만여명 전국인구 중 호남인구는 594만여명으로 전국 23.77%를 차지했다.
호남인구는 70년 20%, 80년 16%, 90년 13%로 반토막 난다.
같은 기간 충청은 6%, 영남은 3% 감소에 그쳤다.
올해 7월말 전국인구는 5106만여명으로 반세기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었으나 호남인구는 524만9955명으로 전국의 <10.28%>로 전락했다.
사회적 이동이 없었다면 1214만명이었을 호남인구 중 2세를 포함해 689만명이 타향살이를 한다.
6·25전쟁에도 없던 가히 '민족대이동'이다.
불균형 개발로 인한 취업기회와 교육·문화 인프라 부족이 원인이라 누구나 지적하나 호남몰표로 최초의 여야 정권교체기인 민주당 ‘집권 10년’에도 아무 혜택이 없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등 대북투자만 엄청났다.
개성공단 근로자가 6만명에 육박하니 북한에 수십만 도시가 생겨난 셈이다.
인구가 적어 4수만에 간신히 당선된 DJ정부에 새만금이 중단되거나, 착공 23년째인 현재도 공사만 진행돼 <새만금 1백년>이 돼야 항구와 공항까지 끝나게 된다.
전주. 완주혁신도시 등 노무현 정부 시절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노력이 있었으나 특별한 성과는 없었다.
무안과 무주기업도시 등이 무산되거나 지연. 축소됐기 때문이다. MB정부에 수도권 집중과 지역불균형이 심화됐다.
LH를 선진 경남에 뺏기는가 하면 23조가 투입된 4대강 개발에도 전북만 소외됐다.
전남지사는 민주당과 달리 영산강개발을 강력 주장해 3조원이 전남에 투입됐으나 전북은 2백여억 불이 단시일에 투입된 ‘돈잔치(?)’를 막지도 못하며 반대만 하던 당론에 묶여서인지, 개발논리가 빈약했기 때문인지 철저히 소외됐다.
오히려 4대강 예산마련을 위해 전북권 도로와 하천예산이 갑자기 줄어드는 이중고를 겪었으나 대변하는 목소리는 없었다.
자연 인구감소는 더욱 극심해질 전망이다.
전북과 비교되던 충남인구는 2002년 190만여 명에서 연평균 2만3천명씩 11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왔다.
2008년 2백만 명을 돌파했고, 2011년 210만여명으로 무서운 속도로 늘고 있다.
올해 7월에는 충남과 세종시를 합쳐 215만7037명이다.
일부는 “충청권이 수도권에 가까워 당연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수도권에서 가장 먼 제주인구를 보자!
제주인구는 55년 28만여명에서 65년 34만여명, 75년 41만여명, 87년 50만여명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 이달 8월 12일, 60만명을 돌파했다.
지리적 여건으로 전남 등 호남인이 대부분 제주인구 증가에 기여했다.
산악지역인 강원도 인구는 전북보다 33만명이 적을 뿐이어 비교적 양호하다.
호남인구는 강원도와 제주만 빼고 꼴찌로 홀로 인구가 준다.
이 기간 호남을 대표하는 정치권은 실종됐다.
수십년 호남몰표 덕분에 ‘십년 정권’을 창출해 대통령부터 국회의장, 총리, 장. 차관, 각종 공기업 수장, 시도지사, 국회의원, 시장. 군수, 시도의원 등 엄청난 자리를 차지하고 민주화 유공자 혜택 등 각가지 과실을 누렸으나 돌아온 것은 없었다.
표를 준 주민과 표를 받은 정치권이 따로 놀았다.
십년은 최소한 인구감소를 저지하고 인구증가로 반전할 절호의 기회였으나 허송했다.
새누리와 달리 지지기반도 못 챙긴 것이다.
몰표를 믿기 때문인지 천안이 당연한 분기역 대신 충북 오송으로 바뀌는 등 곳곳에서 역차별을 받아도 제 집구석은 안 챙기고 개성공단이나 나진. 선봉, 금강산 및 세종시 개발에 유럽까지 대륙횡단열차를 뇌까린다. 한마디로 기가 차다.
안방은 나 몰라라 하며 우주열차든 은하철도든 말로 못할까?
우연인지 최근 여론조사에서 가상의 안철수 신당 지지율이 새누리당에 육박하고 민주당은 한참 저조하고 호남에서조차 안철수 신당이 민주당을 압도한다.
예상된 ‘조강지처의 반란’이요, ‘집토끼의 이탈’이다.
뭉쳐도 어려운데 주춧돌과 기둥이 달아나고 인구가 더욱 줄면 정치적 목소리도 낼 수 없다.
호남인구에 민심까지 소나 돼지가 안심, 등심, 목심, 갈비 등으로 해체되는 것과 같다.
타향살이 2세들은 호남에 애착이 없는 해당 지역민으로 살아가며 전국인구 10% 이하로 줄어든 호남은 정치·경제적 목소리도 내지 못할 것은 자명하다.
'지역내 총생산(GRDP)‘과 '1인당 지역 총생산액'에 기업규모와 숫자 등 모든 면에서 수도권. 영남권에 이어 충청권에도 뒤쳐졌다.
전북이 새만금에 매달려 23년을 허송하는 동안 충남북은 완전 선진지로 변모했다.
세종시까지 본격 개발되면 호남인구를 빨아갈 블랙홀만 추가된다.
호남몰표만 받은 전북정치권은 “낙후되고 못사는 안방부터 챙기라!”
호남해체는 정치권에 부메랑으로 작용할 것이다.
'낫만 들고 오는 농부'는 이제 수확을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
더 이상 호남인이 특정세력의 집토끼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편집위원 고재홍>
'<칼럼사설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전북에너지서비스, 도덕성 논란 (0) 2013.10.17 전북도나 통합시청사를 봉동(봉실산)에 세우자! (0) 2013.09.27 <칼럼>황방산에 터널을 뚫자! (0) 2013.07.28 <칼럼>용인전투 위령탑을 세우자! (0) 2012.12.24 <칼럼> 인도(引導) 이인호 선생을 보내며 (0) 2012.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