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세무회계예산재정생산소득지역
-
-
기재부 ’지방재정협의회’ 전북도 주요 국비사업 간담회<경제>세무회계예산재정생산소득지역 2022. 6. 27. 10:31
기재부 ’지방재정협의회’ 전북도 주요 국비사업 간담회 -전북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할 핵심사업 반영 건의 ▶ 조봉업 부지사, 기재부 김완섭 예산실장과 각 예산심의관이 참석한 간담회서 농생명산업 육성, 스포츠산업·새만금 활성화 위한 전북 국비 핵심사업 논의 ▶ 도 사업 담당국장과 함께 예산 핵심라인 대상으로 사업 필요성과 당위성 설득, 정부예산안 반영 요청 ▶ 예타 진행 중인 ‘그린수소 생산클러스터’, ‘새만금 연결도로’, ‘군산항 제2준설토 투기장’ 등 3개 사업도 정부안 확정 전 예타가 통과되도록 관심과 지원 요청 전북도가 기재부 예산실장 주재 ’지방재정협의회‘에서 예산 키맨을 대상으로 국가예산 핵심사업을 집중 설명하며 정부안 반영을 강력 요청했다. 기재부가 정부예산 편성에 앞서 지역현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
익산시, ‘코로나극복’ 제2회 추경 1조7277억<경제>세무회계예산재정생산소득지역 2021. 8. 25. 12:04
익산시, ‘코로나극복’ 제2회 추경 1조7277억 - 상생국민지원금 640억원, 익산사랑상품권 발행 130억 등 익산시는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민생경제 회복에 중점을 둔 제2회 추경예산(안)을 1조7277억 규모로 편성해 지난 23일 시의회에 제출했다. 이번 추경예산은 지난 제1회 추경예산 1조6299억 보다 6% 증가한 1조7277억으로 978억이 늘어난 규모이며, 추경 재원은 국·도비 보조금과 지방교부세 추가분 등을 활용했다. 이번 추경예산은 정부 코로나 상생국민지원금과 저소득층 추가 국민지원금을 긴급편성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는 소외계층에 대한 다양한 사업과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익산사랑상품권 발행 지원과 노인일자리 확대 등 사업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
-
통계청 통계, 도민 1인당 개인소득 1만6688불<경제>세무회계예산재정생산소득지역 2021. 5. 25. 13:30
통계청 통계, 도민 1인당 개인소득 1만6688불 호남지방통계청은 ‘통계로 보는 전북 도민의 삶’을 통해 가구·건강, 소득·소비, 주거·환경 등에 대한 도민의식 조사보고서를 24일 발표했다. 그러나 도민 1인당 개인소득은 18,725천원(1만6688불)로 나타나 타지 주민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전북 가족 관계 만족도는 57.3%이고, 가족 중 자녀와 관계 만족도가 75.8%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20년 전북 주관적 건강상태(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는 47.1%로 증가했으며 2019년 전북 스트레스 인지율은 26.1%, 우울감 경험률은 6.7%로 나타났다. 이어 2019년 전북 흡연율은 18.9%(’10년 대비 4.2% 감소), 음주율(월간 음주율)은 56.9%(’..
-
좋은정치시민넷, 도민1인당 지역총소득 전국16위, 도지역 최하위<경제>세무회계예산재정생산소득지역 2021. 4. 1. 10:17
좋은정치시민넷, 도민1인당 지역총소득 전국16위, 도지역 최하위 좋은정치시민넷, 도민1인당 지역총소득 전국16위, 도지역 최하위 - 도민 1인당 지역개인소득은 전국 15위, 도 지역에서는 7위 - - 도민 1인당 민간소비는 전국 16위, 도 지역에서는 최하위 - - 좋은정치시민넷, 통계청 자료 활용 전북지역 소득 분석 좋은정치시민넷(대표 손문선)은 통계청 국내통계 자료를 활용, 전국 광역시도별 총생산과 소득현황 분석 결과, 전북도민 1인당 지역총소득은 전국16위, 도지역에서는 최하위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시민넷은 “통계청 최근 발표자료(2019년 통계)를 활용해 전국 지역내총생산(GRDP) 분석결과 전국 지역내총생산액은 1,924조이며, 이중 전북은 52조로 전국 17개 시도 중 12위이며, 9개 도에서..
-
송하진 지사, 「지역균형 뉴딜」과 「전북형 뉴딜」 위한 정책제시<보도자료><경제>세무회계예산재정생산소득지역 2020. 10. 14. 08:03
송하진 지사, 「지역균형 뉴딜」과 「전북형 뉴딜」 위한 정책제시 ▶ 협의회장으로서 지역균형 뉴딜의 3가지 방향 건의 - ① 중앙·지방 상시 회의체 신설 ② 포괄보조금 제도 도입 ③ 1단계 재정분권 한시적 추진 보완 및 2단계 조속 추진 ▶ 전북형 뉴딜 추진방향 제시 및 핵심사업 절차간소화 요청 - 「지능형 농기계 실증단지 조성사업」과 「그린수소 생산클러스터 조성사업」의 원활한 추진 건의 한국판 뉴딜과 지역 균형발전을 연계하기 위해 중앙과 지방이 머리를 맞대고 지역균형뉴딜 해법 모색을 위한 중지를 모았다. 13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제2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가 시도지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과 함께하는 지역균형 뉴딜 추진방안」을 의제로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되었다. 송하진 시도지사협의회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