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선복선전철화사업)전주역사진KTX고속철도역(경)전철지하철트램 2006. 8. 24. 12:44
전라선 복선전철화 거꾸로 추진해
-익산~신리빼고 신리~순천부터
-익산~전주 집중투자, 전남북 혜택줘야
호남선고속철 기본계획이 확정돼 2015년까지 오송~광주간에 건설되면 도내 정차역인 익산, 정읍 등 도내 서부거점도시는 서울~익산이 당초 1시간58분에서 1시간8분으로 KTX 통행시간 단축되는 등 혜택이 예상되나 도청소재지인 전주와 완주, 무진장, 임실 등은 고속철 사각지대 전락이 우려돼 대책이 시급하다.
특히 25.7km에 불과한 익산~전주를 복선전철화해 전주에서 하루 수회만 KTX가 출발하거나 도착하면 도내 대부분 고속철 활용이 가능한데 선형개량을 포함한 복선전철화가 익산~전주~신리 34.1km를 빼고, 신리~순천간 119km가 먼저 착수돼 익산~전주간이라도 집중투자가 아쉽다는 여론이다.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구간 103.6km를 포함한 익산~신리~순천간 153.1km 전라선 복선전철화사업은 KTX 개통을 위해 필수적이어 도합 1조579억을 들일 계획으로 2002년 공사에 착수에 2010년 준공계획이었다는 것.
또한 익산~전주~신리 34.1km는 시가지 발전을 위해 동익산역을 남쪽으로 수백m 이전요구와 전주시내 노선도 도시발전을 위해 35사단 뒤쪽으로 이설요구에 따른 협의지연으로 ‘선형개량’도 신리~순천이 먼저 착수돼 84년 완료됐고, ‘복선전철화’도 05년 먼저 착수돼 지난해까지 746억이 투입됐고, 올해도 550억이 투입된다.
그러나 익산~신리 34.1km는 선로개량을 위한 용지매입도 안됐고, 복선전철화도 전혀 이뤄지지 않았으며, 6172억 국고확보가 어려워 민간업자가 참여해 건설 후 국가에 귀속시키고 국가에 임대하는 형식의 BTL 방식으로 올 6월말 사업고시를 마쳤을 뿐이다.
이 때문에 익산~신리~순천간 153.1km 선형개량 및 복선전철화가 익산~신리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신리~순천만 이뤄지는 바람에 설령 신리~순천간이 완공돼도 남원 및 전남주민의 KTX 활용에 중대한 장애요인으로 등장할 전망이다.
따라서 전주 완주와 무진장, 임실 등 85만 주민이 KTX에서 소외되지 않고, 남원과 여수 순천 광양 등 전남주민들도 하루빨리 KTX를 활용토록 익산~전주간 25.7km에 집중투자해 우선 전주에서 KTX가 출발 및 도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이에 상당수 도민들은 “전라선 선형개량 및 복선전철화가 익산~신리를 빼고 신리~순천부터 한다는 것은 사업을 거꾸로 하는 것“이라며 ”도민 대부분이 KTX 혜택을 누리도록 익산~전주 선형개량과 복선절철화에 집중투자가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고재홍 기자>
<해설>서남해안일주도로 지정구간과 배정예산이 전북 수십배로 전남에 치우쳤다는 비판이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전라선은 엉뚱하게 익산~신리는 전혀 공사를 안 하고 신리~순천간만 선형개량을 80년대 완료하고 복선전철화도 추진되는 어처구니다. 전북은 거의 추진되지 않는다. 때문에 신리 남쪽 전라선 복선전철화가 이뤄져도 신리~익산구간 공사가 안돼 무용지물로 전락할 조짐이다.
최근 호남고속철 건설 기본계획이 확정돼 2015년까지 오송~광주구간이 건설될 방침이어 이미 KTX 혜택을 누리던 도내 서남부 거점도시는 더욱 좋아질 조짐이나 도청소재지인 전주와 완주, 무진장, 임남순 등 1백만 주민은 고속철 사각지대로 남게 된다.
가뜩이나 군산공항 서울노선이 4~5년전 연이어 폐쇄된 후 제주노선도 하루 2회 왕복에서 1회로 줄이려는 움직임에 김제공항도 수요가 없다며 정부가 등을 돌려 도민불만이 고조된 상태다. 그런데 공항은 물론 고속철도 소외되는 도민이 대부분이라면 보통 문제가 아니다. 서대전~목포간 호남선 복선화는 2003년 12월 최종 개통될 때까지 30년이 걸렸다. 최근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전남광주를 방문할 때 사과하는 촌극도 연출했다. 전라선은 더욱 심각하다. 익산~신리를 우선 복선전철화하면 전주에서 하루 수회 KTX가 출발하거나 도착할 수 있어 도민 대부분 고속철 활용이 가능한데 선형개량을 포함한 복선전철화가 익산~전주~신리 34.1km를 빼고, 신리~순천간 119km가 먼저 착수돼 거꾸로 사업이 진행된다.
당초 전라선 복선전철화는 1조579억을 들여 2002년 착수해 2010년 준공계획이었다. 그러나 익산~전주~신리는 동익산역 이전요구와 전주시 노선도 지역발전을 위해 35사단 뒤쪽으로 이설요구가 있어 당사자간 협의지연으로 선형개량도 신리~순천이 먼저 완료됐고, 복선전철화도 05년 먼저 착수돼 올해까지 1296억원이 투입된다.
익산~신리는 선로개량 용지매입도 안됐고, 복선전철화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후 구간은 복선과 단선이 얼룩무늬로 건설됐다. 누더기 복선화다. 익산~신리는 선형개량과 복선전철화를 한꺼번에 추진해야 돼 6172억원의 국고확보 문제로 민간업자가 참여해 건설 후 국가에 임대하는 BTL 방식으로 올 6월말 사업고시만 마쳤다.
익산~신리는 이뤄지지 않고 신리~순천만 이뤄지면 뭐하나? 설령 신리~순천간이 완공돼도 남원 및 전남주민 KTX 활용에 중대한 장애요인이다.
특히 전주 완주와 무진장, 임실 주민 등 85만 주민이 KTX에서 소외되지 않고, 남원과 여수 순천 광양 등 전남주민들도 하루빨리 KTX를 활용토록 익산~전주에 집중투자해 우선 전주에서 KTX가 출발 및 도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서울역이 순천에 있는 것도 아니고 완전 거꾸로 추진된 사업이 아닐 수 없다./고재홍 기자>
'KTX고속철도역(경)전철지하철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권 정차역 이전논란, 익산시민 발끈 (0) 2007.03.16 익산 백제로 2차선 공사 (0) 2006.09.11 (KTX 정차역, 목천동 여론 급부상) (0) 2006.09.11 (채수찬 의원 KTX 익산역 이전발언, 익산시 발끈) (0) 2006.09.10 금마도시계획도로(익성학원) (0) 2006.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