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락하는 전북인구인구청년임신출산은퇴지역소멸 2006. 8. 14. 17:09
추락하는 전북인구
이순신은 '若無湖南是無國家'란 말을 남겼다. "호남이 없으면 나라도 없다"는 표현은 임란 당시 혁혁한 공을 세웠던 호남의 곡창과 의병, 장병을 꼽은 듯하다.
그런데 이제 "호남이 없어도 나라는 있다(若無湖南是有國家)"는 말이 나돈다. 인구가 추락하기 때문이다.
호남과 전북은 20~30년이 지나면 정치적 목소리도 내지 못한다는 것을 자조적으로 말한 내용이다.
전북은 농촌은 물론 새만금 등 무리한 간척사업 영향인 듯 군산시 인구만 급감했으나 최근 익산과 전주도 감소추세로 접어들었다.
전주 중앙동과 다가동 일대는 한 낮에도 극히 한산하고 셔터 내린 건물과 임대를 알리는 종이만 어지럽다. 수산업 호황을 구가하던 군산 해망동은 슬럼화 됐고, 익산시청 주변 남중동도 빈 건물이 부지기다.
농촌이나 산간부는 더욱 심각해 임실, 순창, 무주, 진안, 장수는 물론 부안 고창도 해가 떨어지기 무섭게 인적이 끊기고 어둠에 휩싸여 적막감까지 감돈다.
60년말 2499만 전국인구 중 전북 239만(9.56%), 전남 355만(14.2%)으로 호남거주자는 594만에 달해 전국 23.77%를 차지했다. 2005년말 전국인구는 4874만으로 95%가 늘었으나 전남 197만(4.05%)과 광주 140만(2.87%)이고, 전북은 190만(3.8%)으로 급감했다.
전국 23.8%였던 호남인구도 10.8%로 점유률이 축소됐다. 전국이 고루 개발돼 자연적 증가만 있고 사회적 이동이 없었다면 호남인은 1158만이 돼야 하나 527만명만 남고 631만이 타향살이를 한다.
수도권 450만명, 부산 대구 울산 경남북 1백만명, 대전 등 기타 지역에 뿔뿔히 흩어졌다. 가히 '민족대이동'이다.
1966년 252만여명을 정점으로 전북인구는 2천년 2백만여명에 이어 02년 196만여명으로 2백만이 붕괴된데 이어 04년 191만여명, 05년 190만여명으로 급감했다.
특히 실제인구를 조사한 2005년 11월 ‘통계청 인구 총조사‘상 전북인구는 주민등록 숫자보다 12만2천여 명 가량 적은 '178만여명'으로 밝혀져 ’170만 시대‘도 현실화됐다.
놀라운 것은 2020년 150만이 붕괴돼 전국인구 점유율은 3%, 2030년은 132만명에 2.7%로 추산됐고, 65세 이상도 현재 14%에서 2020년 22.3%, 2030년 31.3%로 급증한다.
즉 2030년 132만명 가운데 41만명이 65세 이상이어 1백만 붕괴가 도래할 상황이다.
'아기 더낳기'와 '위장전입성 주소이전'이 성행하나 직장을 찾아 떠나면 그만이다.
실제 지난해말 '170만 시대'를 맞았으나 "어떤 기업이 어디에 유치된다"는 보도가 많다.
'우물 안 개구리'처럼 타지역 변화를 인식치 못하거나 인식하고도 눈을 감고 자족하는 것은 아닐까?
전북낙후에 책임을 느껴야 할 나리(?)들은 예산만 배정됐다면 자신의 공로인 양 홍보에 바쁘다.
과연 전북이 언론플레이나 하고 한 두 기업 들어왔다고 대서특필할 상황인가?
여기에 행정도시로 개발되고 정부와 대기업 지원과 참여까지 가세되면 충청권이 호남인구를 흡인해갈 '블랙홀'이 될 것이다.
'湖南해체'는 가속화된다. 20∼30년이 지나면 타향살이 2세들은 호남에 아무런 애착이 없는 거주민으로 살아가고, 전국인구 점유율이 7% 이하로 줄어든 호남은 아예 목소리조차 내지 못할 것이다.
91년 군산·옥구가 28만7774명으로 피크를 기록했다.
그러나 군산은 01년 27만7680명 이후 매년 4천명 가량 줄어 올 6월말에는 26만1554명으로 더욱 줄었다.
최고 34만에 육박하던 익산은 02년부터 매년 3천∼5천명이 감소해 05년 32만0780명으로 축소된데 이어 올해 6월말 31만6813명으로 32만이 붕괴됐고 수년내 '30만명 붕괴'가 우려된다.
정읍도 05년말 12만9050명으로 13만이 붕괴돼 조만간 '10만 붕괴'가 도래할 전망이다.
인구가 줄지 않던 전주시도 04년 62만4260명에서 올해 6월말 62만 3064명에 그쳤다. 도시가 이러니 농촌은 말해 무엇하리.
'박정희 18년'에 육박하는 '새만금 16년'을 보내며 내부개발은커녕 방조제도 완공치 못하는 등 세월을 허비한 탓으로 분석된다.
이제 ‘공단조성과 기업유치’ 뿐이다.
김완주 전북지사가 임기 중 절반을 서울에서 보내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은 그만큼 상황이 심각한 것을 증명한다.
경향각지 정치인과 지자체장은 물론 도민과 출향인사가 똘똘 뭉쳐 극복해내야 할 과제다. <2005. 09. 21. 水>
/고재홍 기자>
'인구청년임신출산은퇴지역소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시 인구늘리기 엉터리 (0) 2007.10.18 익산인구 지속적 감소 (0) 2007.07.31 익산인구감소 대책시급 (0) 2007.03.18 익산 인구 늘리기에 올인(50만 인구)보도자료 (0) 2007.03.15 [광복 61년]대한민국 어떻게 달라졌나 (0) 2006.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