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경제사 흐름 파헤친 『Economic History of Korea: An Overview』 발간
    (문화)문화원문화재단서원향교무속 2024. 12. 20. 11:29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경제사 흐름 파헤친 Economic History of Korea: An Overview발간

     

     

    "왜 일부 국가는 번영하고, 다른 국가는 쇠퇴했을까?“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신간 Economic History of Korea: An Overview(김재호) 발간

    2016년 동일 저자가 쓴 대체로 무해한 한국사를 외국 독자 대상 새롭게 재구성한 버전

    구석기 시대부터 현재까지 각 시대 경제구조와 변화에 초점을 맞춰 한국사 종합적 조망

    통설을 단순 요약한 교과서형 도서와 차별화, 경제 관련 38개 주요 주제를 살펴..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김낙년)은 한국사에 관심 있는 전 세계 일반 독자들에게 한국 경제사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제시한 Economic History of Korea: An Overview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경제구조의 변화를 읽고 이해하는 한국사

     

    이 책은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구석기 시대부터 고조선,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그리고 개항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의 경제구조와 그 변화에 초점을 맞춰 한국사 전체를 종합적으로 조망했다.

     

     

     

    기존의 정치사 중심 서술에서 벗어나 인간의 하루하루 삶을 결정짓는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사를 서술한 점이 이 책의 특징이다.

     

     

     

     

     

     

     

     

    한국 경제사의 흐름을 38개 주요 주제로 설명

    Economic History of Korea: An Overview는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경제와 관련된 38개의 주요 주제를 시간 순으로 살펴 한국 경제사를 폭넓게 개관하고 있다. 이 책은 통설을 단순히 요약하는 교과서형 도서와는 차별화성이 있다.

     

     

     

     

     

     

    한국 경제사 연구의 최신 성과를 기반으로, 저자의 비판적 시각과 논점을 함께 담아내어 전문성과 깊이를 동시에 갖춘 점이 돋보인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경제사를 입체적이고 풍부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경제사 연구자인 저자는 한국사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다. ‘왜 농업이 시작되었을까?’ 작고 단순한 사회가 어떻게 대규모의 복잡한 고대국가로 변모하게 되었을까?’ 왜 사람은 다른 사람을 재산으로 소유하게 됐으며, 노비제도는 왜 번성했다가 쇠퇴했을까?’ 지주제가 발달한 이유는 무엇일까?’ 조선왕조는 어떻게 500년 넘게 장수할 수 있었을까?’ ‘19세기에 경제가 쇠퇴한 원인은 무엇일까?’ 근대화에 실패했던 나라가 어떻게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뤄낼 수 있었을까?’ 그리고 어떤 나라는 번영하고 어떤 나라는 정체하거나 쇠퇴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들 난제를 중심으로 저자는 경제학 전문 지식과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그 원인과 조건을 분석하고 정리해 한국사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이 책은 2016년 동일 저자가 쓴 대체로 무해한 한국사: 경제학 히치하이커를 위한 한국사 여행안내서를 기반으로 하며 2020년대 이후 최신 연구 동향과 북한 관련 내용, 그리고 최근 한국 경제 상황까지 추가한 외국 독자를 위한 새롭게 재구성된 버전이다.

     

     

     

     

     

     

     

     

    저자는 한국사가 우리나라 국민만 알아야 할 게 아니라, 경제학의 발전과 다른 국가의 빈곤 문제 해결 등을 위해서라도 글로벌한 맥락에서 공유되고 이해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이유로, 저자는 한국사와 다른 나라의 경제구조를 비교 분석하며 세계적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한국 경제사 통사를 다룬 최초의 영문 도서를 집필했다.

     

     

     

     

     

     

     

     

    기존 경제사 연구 패러다임 비판 및 새로운 논점 제시

     

    Economic History of Korea: An Overview는 한국사를 큰 주제로 삼으면서도 한국인만의 시각이나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페러다임을 제시한 점이 특징이다. 이 책은 연대기적 구성과 소주제별 분류를 통해 한국 경제사를 체계적으로 조망하며, 기존 서술과 달리 최신 연구 성과와 논쟁점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이 책은 경제적 측면에서 제도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국사를 통사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한 첫 시도다. 저자는 한국 사회가 역사적인 갈림길에서 왜 특정한 선택을 했는지, 그리고 어떤 경로를 통해 현재에 이르게 됐는지를 탐구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역사 되돌아보기를 통해 한국의 미래와 향후 방향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고 있다.

    ===================

     

     

     

     

    [붙임 1] 신간 정보




    Economic History of Korea: An Overview
    지은이 Jae Ho Kim (김재호)
    발행처 AKS Press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발행일 20241115
    정 가 30,000
    쪽 수 320
    판 형 신국판변형(148×225)
    분 류 경제, 경제사
    ISBN 979-11-5866-774-0 (93910)

     

    지은이 소개

    Jae Ho Kim is Professor of Economic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e received his B.A., M.A., and Ph.D in economic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specializes in Korean economic history and served as editor-in-chief of Kyŏngje sahak (Review of Economic History) and as president of the Korean Economic History Society. He has written numerous articles and books on Korean economic history. His recent publications include Historical Statistics of Korea (co-author), Mostly Harmless History of Korea (in Korean hereafter), “Escape from the Fiscal-Capacity Trap in Korea, 18002000,” and “From ‘Intrinsic Development’ to ‘Economic Growth’ Paradigm: Trends and Prospec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Economic History.”

     

    차례

    Introduction

    Chapter 1. Why Economic History of Korea?

    Chapter 2. A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Chapter 3. The Flow of Korean History: A Question of Historical Periodization

     

    Part I. Ancient Times: From Prehistoric to Unified Silla

    Chapter 4. The Prehistoric Era: The Beginning of Agriculture

    Chapter 5. The Founding of Ancient States and Economic Transformations

    Chapter 6. Were the Ancient Korean Societies Based on Slavery?

    Chapter 7. Ancient International Trade and Transaction Cost

     

    Part II. Middle Ages I: From the Koryŏ Dynasty to the Early Chosŏn Period

    Chapter 8. What Makes the Middle Ages of Korea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Chapter 9. Economic Integration in the Koryŏ Dynasty

    Chapter 10. Development of Agriculture in the Middle Ages

    Chapter 11. Who Owned the Land in the Middle Ages?

    Chapter 12. The Founding of the Chosŏn Dynasty: A Break from the Past or a Continuation

    Chapter 13. Population of the Chosŏn Dynasty: Long-term Trends

    Chapter 14. Government Finances in the Early Chosŏn Period: Land Tax, Tribute, Military Service, and Network of Gift

    Chapter 15. Yangban: The Privileged Class of the Chosŏn Dynasty

    Chapter 16. Supply and Demand of Slaves during the Chosŏn Dynasty

     

    Part III. Middle Ages II: From the Late Chosŏn Period until the Opening of the Ports

    Chapter 17. Development of Peasant Farming and the Landlord System

    Chapter 18. Reform of the Tribute System and Taedongbŏp: Continuity in Changes

    Chapter 19. The Era of Commodity Money

    Chapter 20. Development and Limitations of Market Economy during the Late Chosŏn Period

    Chapter 21. The Kingdom of the Largest Grain Storage in the World

    Chapter 22. How Did the Chosŏn Dynasty Survive for 500 Years?

    Chapter 23. The Late Chosŏn Dynasty and the “Great Divergence” in World History

    Chapter 24. Crisis of the 19th Century

     

    Part IV. Modern Era: From the Opening of the Ports through the 2020s

    Chapter 25. Opening of the Ports: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and the New World Order

    Chapter 26. The Beginning of Free Trade and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Structure

    Chapter 27. Emerging Business Opportunities and the Making of Companies

    Chapter 28. Fiscal Capacity Trap and the Kabo Reform of 1894

    Chapter 29. Was the Korean Empire a Modern State?

    Chapter 30. Expansion of the Imperial Finances

    Chapter 31. How Did Japan Take Control of the Korean Empire’s Finances?

    Chapter 32. Did the Land Survey Project by Japan Exploit Land?

    Chapter 33. The Colonial Agricultural Policy and the Development of the Landlord System

    Chapter 34.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under the Colonial Rule

    Chapter 35. The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Choice of Economic System

    Chapter 36.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and Rapid Economic Growth

    Chapter 37. What Caused North Korea’s Failure?

    Chapter 38. Success of the Korean Economy and New Challenges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