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대통령도, 도지사도, 군수도 찍을 사람 없네!”<칼럼사설수필> 2022. 1. 26. 12:27
<칼럼> “대통령도, 도지사도, 군수도 찍을 사람 없네!”
지방선거 물밑 움직임이 출렁인다. 부안군도 군수 입지자 여론조사 등으로 뒤숭숭하다. 1966년 최고 17만5044명 생거부안은 작년 말 5만795명으로 5만 붕괴가 임박했다. 전국인구가 2498만에서 206.7%인 5163만으로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2·3세를 포함, 31만여 명이 외지에 살고 1/7 이하만 남았다. 인구급감을 제외하면 경제성장으로 풍족한 주민도 많다.
그러나 새만금에 따른 수산물 급감, 코로나로 인한 관광객 축소 등으로 지역소멸이 머지않다. 생거부안(살기는 부안이 좋다)과 어염시초(물고기와 소금, 땔감, 나물과 채소), 십승지(전쟁이나 기근을 피하기 좋은 10개 지역)는 옛말이다. 무안無安군청·불안不安군청, 생거무안·생거불안이란 말도 생겼다.
최근 군수 입지자 여론조사가 연이어 공개됐다. 그러나 군민 상당수는 혀를 끌끌 찬다. “대통령도, 도지사도, 군수도 찍을 사람이 없다.“는 거다. 작금의 국민·도민·군민 민심을 나타낸다.
뉴스1전북본부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부안군 성인 502명을 대상으로 작년 12월 7-8일 여론조사에서, 군수 출마예상자 5명 지지도가 공개됐다. 김성수 전 의장 34.1%, 권익현 군수 33.5%, 김종규 전 군수 13.6%, 최훈열 도의원 11.1%, 김상곤 전 농업단체 회장 2.4%였다.
부안독립신문이 윈폴에 의뢰해 1월 11-12일 군수 적합도 조사 결과는 권익현 군수 38.8%, 김성수 전 의장 33.5%, 김종규 전 군수 14.3%, 김상곤 전 회장 4.5%로 공개됐다. 농지법 위반혐의로 1심에서 벌금 700만원이 선고된 직후, 불출마하는 최훈열 의원이 빠진 결과다.
군민여론 ‘찬반과 호·불호‘를 골고루 보자. 현직 권익현 군수는 찬반 여론이 넘쳐난다. “공무원을 제대로 통솔치 못한다. 휘둘려서 되는 일이 없다. 계화도 간척에는 리어카 등으로 돈 버는 주민이 많았으나, 수산업 초토화를 초래한 30여 년 새만금은 외지 건설업체 외에 돈 벌었다는 도민이 없다. 그래서 각종 토목과 전기·조경 등 건설 분야는 물론 하다못해 문방구까지 군청 사업참여가 절실한데 ’권핵관(권 군수 핵심관계자)‘이나 측근에 줄 대지 않고 할 일이 없다. 동진강을 건너(부안을 떠나) 살지 않으려면 일단 갈아야 한다. 실적이 없으면 지역발전을 위해 군수 교체가 필요하다.”는 게 비판 시각이다.
반면, 지지자들은 “독재 시절도 아니고 그만큼 권 군수가 공무원 창의적 자율성을 존중하고 민주적으로 군정을 운영하는 것이다. 전임 시절, 위도 걷기 행사 등에 과잉동원으로 (여성) 공무원 등이 얼마나 힘들었나? 과거 고마제·신운천 등 재정이나 인구를 감안하지 않은 비생산적 분야에 과잉 투자해 뒤치다꺼리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 권 군수 재임 중 독직·비리에 사건 없었던 것은 ‘청렴’을 강조한 군정 때문이다. 각종 사업은 입찰 등을 통해 합법적으로 진행할 뿐 사업 관여 권핵관이나 측근은 없다. 매번 군수가 바뀌면 뭐를 제대로 하겠는가? ‘월등한 인물’도 없는데 바꿔봐야 마찬가지다.”는 주장이다.
“못 살겠다. 갈아보자.”와 “갈아봤자 별수 없다.”가 변산에서 재현됐다. “이방·호방 등이 기생 등 주색이나 금품으로 아부하며 세월을 보내다 사또가 알만하면 바뀐다.”는 옛말까지 나온다. 군수가 단임으로 끝나고, 극한대립 핵폐기장(방폐장) 사태로 허송하며, 군수가 감옥을 들락거리거나 중도하차 하니 실제 '공무원이 좌우하는 군정'이란다. 군수 연임 주장과 교체 여론이 극명하다. 김성수 전 의장에 호·불호는 적다. 군수 비판자들이 김 의장을 지지할 수밖에 없는 반대급부 구조란다.
“‘또 나왔당가'(’나왔느냐?‘라는 부안사투리)라는 지적을 받는 김종규 전 군수는 띄엄띄엄 두 번이나 군수를 했고, 대통령 후보가 60년대 생인데 70대 3선 군수가 말이 되나? 아들 문제 등과 과거 공무원이나 공원 등에 대한 무리한 행정 및 사업으로 잡음이 많았다. 그러니 ‘연임 여론’은 권 군수에, ‘교체 주장’은 김 전 의장에 쏠릴 수밖에 없다.”는 여론이다. 반면, 김 전 군수의 강력한 사업추진과 카리스마 행정장악을 꼽는 주민도 적지 않다.
그러나 압권壓卷(가장 뛰어난 것)은 “대통령도, 도지사도, 군수도 찍을 사람 없다.”는 거다. 호남지역은 더민주 텃밭이나 이번 선거는 희석될 전망이다. 특히 전북인은 DJ·노무현·문재인 정부 탄생에 몰표로 기여하고도 후대접·푸대접이 아닌 무대접이었다. 정치인 등 추종 인사만 출세했을 뿐이다.
DJ 정부 동진정책에 따른 역차별에 이어 노무현 정부는 10개 혁신도시라도 남겨 현상 유지 수준이었다. 그러나 부산·대구·울산광역시가 포함되고, 대전·광주는 제외되는 등 영남권에 5개 혁신도시 집중 등 개발편중은 여전했다. 충남도 전체 혁신도시 합친 것보다 월등한 세종시를 챙겼고, ‘충남혁신도시’도 별도 추진한다. 노무현 정부에 이어 민생과 가장 밀접한 부동산 연쇄 폭등 등은 ‘능력‘과 ’이념’ 정치에 근본 의문을 가져와 민심 이반을 초래했다. ’혁신도시 시즌2‘ 초석도 못 놓아 대북·대일관계와 기업인 노력 및 세계경기에 힘입은 수출 확대 등 무엇을 업적으로 꼽을까?
특히 전북은 ‘정부예산 증가율’에 매년 뒤처진 평균 이하 ‘국비 증가율’에,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한국GM 재가동 무산에다 ‘대선공약 이행률 13%‘ 보도까지 나올 정도였다. 인구는 급감하니 ‘몰표=홀대‘라는 인식으로 기권·이반이 증가할 조짐이다. 대선후보와 가족 녹취록 공개 논란, 대장동 사태 및 후보 부인 논란과 겹쳐 눈 뜨고 볼 수 없는 저질 대선이라는 여론이다.
국비 확보 등에 과대포장·허장성세로 일관한 전북 도정을 어지간한 도민은 거의 파악한다. 그러나 사상 최초 3선 지사를 꿈꾸는 송 지사 뚜렷한 대체 인물이 없다. “대통령도, 도지사도, 군수도 찍을 사람 없다!”는 푸념을 듣게 된 배경이다. 대선(국민)이나 전북지사 선거(도민), 부안군수 선거(군민)에 떠도는 여론이다./편집국장 고재홍>
'<칼럼사설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대선과 코로나에 애타는 ‘지선’ 신진층 대책! (0) 2022.02.09 <칼럼> “이게 나라냐?“와 ‘나라다운 나라 만들기’ 역사 (0) 2022.02.07 <칼럼> ‘탈망당’→입흥당’ 익산시장, 다시 탈당할까? (0) 2022.01.24 <칼럼> 코로나 2주년, 자영업자와 백신 등 세태탐방 (0) 2022.01.22 <칼럼> 정치의 계절, 선거철이 왔나 보다! (0) 2022.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