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칼럼> ‘고희’ 장군, 서거 4백주년을 맞아!
    <칼럼사설수필> 2015. 9. 14. 09:38

     

     

     

     

     

     

    <칼럼> ‘고희장군, 서거 4백주년을 맞아!

     

     

     

     

    전북 부안이 낳은 임. 정유왜란 공신, 영성군瀛城君 고희高曦’(1560~1615) 장군이 서거한지 올해로 4백주년이다. 특히 영성군은 부친인 제원군濟原君 고사렴高士濂부터 본인과 아들인 영원군 瀛原君 고홍건高弘建, 손자인 영해군瀛海君 고두황高斗煌까지 임진. 정유재란, 이괄의 난, 병자호란 공신으로 4대에 걸쳐 무과급제와 군의 칭호를 받아 사봉군四封君으로 손꼽힌다.

    왕족이나 가능한 칭호를 4대나 계속 받은 중심인물인 영성군 고희 장군 서거 4백주년을 맞았으나 기념사업이나 행사 등 특별한 움직임이 없다.

    영성군은 부안읍 성남리 죽내촌(봉덕리 내갈부락)에서 1555년에 무과에 급제했던 제원군 장남으로 1560년 출생했다. 영성군 조부인 공조참판 고세호도 1526년 무과급제해 교지가 보물 739호인데 부친인 제원군도 무과급제로 병조판서와 제원군 작위를 받았다. 영성군은 임란에 나라를 구하고자 선조를 호위하며 누란위기를 극복한 인물이다. 1584년에 무과급제해 15924월 임란발발로 선전관으로서 피난 가는 선조를 호위한다.

    임진강을 선조를 업고 건너며 개경에서 선조 명령으로 충청. 전라관찰사 등을 만나러 왜군이 우글거리는 한양과 경기도를 거쳐 내려온다. “군사(의병)를 모집하라는 왕명 전달을 위한 징병사다. 3부자와 동생 두 명 및 딸 등 6명이 목숨을 잃은 고경명 선생과 김천일 장군 등 호남의병의 기폭제가 됐다.

    전라감영에 어명을 전달하고 아들이 죽었다는 소식에도 나라가 망할 지경인데 자식이 대수냐며 부안에 들리지도 않고 선조가 있던 북으로 향한다.

    선조를 호위하며 대동강을 건너다 왜군의 칼날에 오른쪽 귀를 잃는다. 선조는 궐위(임금이 없게 되는 상황)에 대비해 광해군과 분조(조정을 나누는 일)를 한다.

    영의정 등 많은 신하와 장졸은 젊은 광해군을 따르거나 도망간다. 영성군은 임금이 욕을 당하면 신하는 마땅히 죽어야 한다. 때가 위태로우니 어찌 목숨을 아낄쏘냐?”라는 主辱臣當死 時危命易輕이라는 許身辭(죽음을 각오하는 시)를 남겼다.

    영성군은 왜병과 수많은 민란 등을 넘기고 선조와 함께 임진강. 대동강. 청천강을 건너 의주까지 가야 했다. 천신만고 끝에 159310월 선조와 함께 한양으로 돌아왔다.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봉되고 영성군에 봉해진다. 영성군 고희 영정과 선조가 내린 유교서는 보물 739호다. 서예의 대가, 한호(韓濩: 한석봉)의 글씨다.

    1608년 선조가 승하하자, 부안으로 낙향한다. 1615121일 영성군이 서거하자 호조판서로 추증돼 예장禮葬(국장)하고 석불산 사방십리를 사패지로 하사받는다. 석불산에 묘소가 있다.

    영성군 아들, 고홍건은 이괄의 난 공로로 영원군에 봉해졌고 훗날 병자호란에 어가를 호위하며 남한산성에서 싸웠으며, 손자인 고두황은 영해군 작위를 받았다.

    후손 중에 수많은 무과급제자를 배출해 나라를 지키려는 일념이 면면히 내려왔다.

    풍전등화의 위기에 온 몸을 바친 인물의 업적을 기리고 사표로 삼아 애국애족 정신을 선양함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임란공신, 서거 4백주년을 맞고도 부안군과 전북도는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 현재 효충사와 영당, ‘1522년 참판공 고세호의 교지부터 고정상에 이르는 1894(고종 31) 유물까지’ 12372년간의 유물 20215점이 보물 제739호로 보관 전시되는 유물관, 그리고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세트장만 남아 있다. 민족혼과 애국애족 정신을 일깨우기 위해 고희 장군 동상과 왜란 및 호란 등 전쟁체험관 건립, 석불산 주변에 단풍이나 벚꽃 식재, 청호교차로~석불산~송림~장신교차로까지 도로연결 등 기념사업에 관심을 쓸 때가 아닌가 싶다./취재국장 고재홍>

     

     

     

     

    <칼럼> ‘고희장군, 서거 4백주년을 맞아!

     

     

     

     

     

     

     

     

     

     

     

    멀리 석불산이 보인다.

    부안에 접어들어 격포로 가는 4차선

    하서-부안간 도로에 접어들어 석불산 6.5km 전방이다.

    행안면 부근에서 서해바다쪽을 바라볼 때 나타나는 광경이다.

     

    왼쪽은 변산이고, 앞길은 동쪽에서 서쪽을 향해 달리는 하서 부안간 도로다.

     

     

     

     

     

     

     

     

     

     

     

     

     

     

     

     

     

     

     

     

     

     

    석불산 동쪽으로 계화도 간척공사지구에 농업용수를 공급할 140만평의 청호저수지가 보인다. 간척공사 전에는 바닷가였는데 농업용수를 저장하기 위해 해변에 인위적으로 둑을 쌓아 만들었는데 칠보발전소에서 동진강도수로를 따라 내려온 용수를 저장했다가 계화도농지에 공급한다.

     

     

     

     

     

     

     

     

     

     

     

     

     

     

     

     

     

     

     

     

     

     

     

     

     

     

     

    변산으로 가는 길목인 하서 부안간 도로 청호교차로에 있는 만남의 광장이다. 석불산이 지척에 있음을 보여준다.

     

     

     

     

     

     

     

     

     

     

     

     

     

    석불산 경내에 들어온 직후 사진이다. 이 곳에는 드라마 이순신 세트장도 경내에 들어섰다.

     

     

     

    석불산 쪽으로 석불저수지가 보인다.

     

     

     

     

     

     

     

     

     

     

     

     

     

     

     

     

    주차장 앞에 서 있는 각종 안내판

     

     

     

     

     

     

     

     

     

     

     

     

     

     

     

     

     

     

     

     

     

     

     

     

     

     

     

     

    왕족이 얻을 수 있는 군(君)의 칭호를 4대에 걸쳐 받은 분들의 신도비가 나란히 세워져 있다.

     

     

     

     

     

     

     

     

     

     

     

    멀리 보이는 산 봉우리가 석불산 정상인데 서쪽은 서해바다가, 동쪽으로는 140만평 청호저수지가 북쪽으로는 계화도간척단지가, 남쪽으로는 변산이 놓여 있다.

     

    산 정상까지 등산로가 잘 개발됐는데 전국에서 많은 탐방객이 몰린다. 날이 맑으면 고군산군도와 멀리 군산을 넘어 장항까지 환히 보인다.

     

     

     

     

     

     

     

     

     

     

     

     

     

     

     

     

     

     

     

     

     

     

     

     

     

     

     

     

     

     

     

     

     

     

     

     

     

     

     

     

     

     

    석불산은 육관 손석우 선생 등 많은 풍수 대가들이 거쳐 간 곳이다.

     

     

     

     

    고려말 조선초 작품으로 추정되는 용관석

     

     

     

     

     

     

     

     

     

     

     

     

     

     

     

     

     

     

     

     

     

     

     

     

     

     

     

     

     

     

     

     

     

     

    효충사 및 영당, 1984년 건립한 유물관, 2만평 부지에 세워진 드라마 이순신 세트장이 방영 중에 건립돼 남아 있다.

     

     

     

    보이는 배롱나무는 4백년된 것으로 세 그루가 반송과 함께 남아 있다.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세트장에 히데요시가 거주했던 일본 오사카성 천수각이 세워져 있다.

     

     

     

     

     

     

     

     

     

     

     

     

     

     

     

     

     

     

     

     

     

     

     

     

     

     

     

     

     

     

     

     

     

     

     

     

     

     

     

     

     

     

     

     

     

    반송으로 속리산 정이품송 이상의 수형을 자랑했는데 수년 전 태풍에 가지가 부러진 모습이다.

     

     

     

     

     

     

     

     

     

     

     

     

     

     

     

     

     

     

     

     

     

    1984년 건립된 유물관

     

     

     

     

     

     

     

     

     

     

     

     

     

     

     

     

     

     

     

     

     

     

     

     

     

     

     

     

     

     

     

     

     

     

     

     

     

     

     

     

     

     

     

     

     

     

     

     

     

     

     

     

     

     

     

     

     

     

     

     

     

     

     

     

     

     

     

     

     

     

     

     

     

     

     

     

     

     

     

     

     

     

     

     

     

     

     

     

     

     

     

     

     

     

     

     

     

     

     

     

     

     

     

     

     

     

     

     

     

     

     

     

     

     

     

     

     

     

     

     

     

     

     

     

     

     

     

     

     

     

     

     

     

     

     

     

     

     

     

     

     

     

     

    <이하, 드리마 불멸의 이순신 세트장>

     

     

     

     

     

     

     

     

     

     

     

     

     

     

     

     

     

     

     

     

     

     

     

     

     

     

     

     

     

     

     

     

     

     

     

     

     

     

     

     

     

     

     

     

     

     

     

     

     

     

     

     

     

     

     

     

     

     

     

     

     

     

     

     

     

     

     

     

     

     

     

     

     

     

     

     

     

     

     

     

     

     

     

     

     

     

     

     

     

     

     

     

     

     

     

     

     

     

     

     

     

     

     

     

     

     

     

     

     

     

     

     

     

     

     

     

     

     

     

     

     

     

     

     

     

     

     

     

     

     

     

     

     

     

     

     

     

     

     

     

     

     

     

     

     

     

     

     

     

     

     

     

     

     

     

     

     

     

     

     

     

     

     

     

     

     

     

     

     

     

     

     

     

     

     

     

     

     

     

     

     

     

     

     

     

     

     

     

     

     

     

     

     

     

     

     

     

     

     

     

     

     

     

     

     

     

     

     

     

    <호랑가시나무>

     

     

     

     

     

     

     

     

     

     

     

     

    <꽝꽝이나무>

     

     

     

     

     

     

     ============================================================================================

     

     

    <이하, 석불산의 '불멸의 이순신' 세트장>

     

     

     

     

     

     

     

     

     

     

     

     

     

     

     

     

     이순신 세트장 중의 오사카 성의 천수각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