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칼럼> 인구감소율 전북2위, 순창·임실·부안1·2·3위
    <칼럼사설수필> 2022. 1. 5. 10:17

     

     

     

     

     

    칼럼.hwp
    0.02MB

     

     

     

     

     

     

    <칼럼> 인구감소율 전북2, 순창·임실·부안1·2·3

     

     

     

    20187월 출범한 민선7기 인구감소율은 전북이 17개 광역시도에서 2위이고, 전북에서는 순창·임실·부안이 1·2·3위이며, 시단위에서는 김제·익산시가 1·2위로 감소숫자는 익산이 1위다.

     

     

     

     

     

     

    국비확보나 기업유치 했다고 홍보에 능란해도 인구가 줄면 할 말 없다. 민선6기가 출범한 20147월 이후, 2015년부터 올해까지 한 번도 전북 국비 증가율정부예산증가율을 넘어선 적이 없다. 정부예산에서 전북 국비 점유율은 올해가 역대최저다. 새만금예산도 전북 국비에 포함돼 건설업체와 관련기관 밥그릇이 된 셈이니 그만큼 다른 사업을 못한다. 수도권에서 멀고 민간기업 투자도, 유치도 터덕거리니 인구가 급감한다.

     

     

     

     

     

     

    민선7기 직전인 20186월말(이하 연·월말)부터 2021년까지 17개 광역시도 중 서울(-304591)6대 광역시(-294977)가 모두 줄어 아파트 폭등에 따른 전세난민이 심각했음을 보여줬다. 인구감소율 1위 울산(-3.28%), 2위 전북은 무려 57784(-3.13%)이 급감해 1786855명이 됐다. 13개 광역시도가 감소한 반면, 세종시는 71563(증가율 23.8%)이 급증했다. 경기59274(4.55%) 증가해 1356만여 명이 됐고, 제주는 13233(2%) 증가해 676759명이 됐다. 충북은 1655(0.1%) 증가했다.

     

     

     

     

     

     

     

    전북에서는 전주시만 에코시티·효천·만성지구 등 택지개발과 재개발·재건축이 집중돼 5647(0.87%) 증가해 657269명이 됐다. 행정·교통·교육·문화가 집중돼 살기 좋고, 사통팔달 도로망으로 도내 전 지역에서 출·퇴근이 가능하며 화학공장·축산 악취도 없이 쾌적하기 때문이다.

     

     

     

     

     

     

     

    시 단위에서 감소율 1·2위는 김제·익산시14개 시군에서는 각각 5·6위다. 36개월에 김제 5322(-6.17%)·익산 18259(-6.16%)이 감소했다. 감소숫자는 익산이 단연 1위다. 14개 시군 7위 정읍시 -6628(-5.86%), 11위 남원시 3425(-4.13%), 13위 군산시 8396(-3.06%)이다. 익산시가 전북감소 55778431.6%18259명을 차지해 감소주역이다.

     

     

     

     

     

     

     

    군 단위는 심각하다. 광주·전주 중간 순창군이 -2559(-8.7%)14개 시군 1, 35사단 효과종료 및 전주와 가까운 임실군 2409(-8.27%) 2, 3위 부안 4567(-8.25%), 4위 고창 4372(-7.57%)· 8위 장수 5.34%· 9위 진안 4.68%· 10위 완주 -4.3%, 12위 무주 3.85% 순이다. 순위가 낮을수록 인구가 적게 감소했다.

     

     

     

     

     

    부안이 감소율 3, 김제 5위다. 관광과 기업유치도 터덕거리는데다 새만금 32(31)으로 수산·양식업이 전멸했다. ‘산란까지 악영향이어 전북 수산물 감소는 심각하다. “해수유통 확대가 늦을수록 전북 수산업과 경제를 망친다. 훨씬 많은 바닷물이 드나들도록 해야 한다.” 새만금호 물고기 떼죽음이 계속되고, 외해 수산물감소 악영향도 심각하다. “새만금을 착공한 1991년 전북 수산업 생산량은 124819t으로 충남 86618t보다 많았으나 2017년 전북 79206t인 반면, 충남은 162957t이였다.“ 황금어장을 뺏기고 비산먼지·염해 피해만 극심하다.

     

     

     

     

     

     

     

    새만금은 계화도와 천양지차다. “썰물에도 드러나지 않는 깊은 바다가 대부분이고, “만경·동진강을 가두어 새만금호 32배 면적 홍수가 쏟아질 때 밀물, 특히 백중사리 밀물이 겹치면 해수 역류로 배수갑문을 열지 못한다. ’100년에 100를 각오할 만큼 끝없는 새萬年매립사업에 새亡金이다.

     

     

     

     

     

    새만금에 31년간 돈만 벌고 투자는 안 하는 건설업체 외에도 전북도와 군산·김제·부안군 유관과와 새만금사업단·새만금산단사업단·새만금개발청·새만금개발공사·국무총리실·농식품부 등 관련 직원만 600명 안팎이다. 새만금이 과연 누구의 밥그릇·먹거리인가?

     

     

     

     

     

     

     

     

    (만경·동진강에 금강 용담댐·섬진강·부안댐)까지 용수가 넘쳐나 필요치도 않고 정화도 불가능한 호수를 정화한다며 43천 이상 수질개선비에 왕궁축산시설 매입과 각종 공정에 올까지 161324억이 들어가며, 수산물감소도 엇비슷하다. 정부예산·(전북예산·점유율)2014335.8(61131·1.82%)에서 2022607.7(893681.47%)역대최하 점유율인 전북 국비에서 올 14136억 새만금 예산까지 부담한다.

     

     

     

     

     

     

    김완주 지사 시절 확보했던 20141.82%를 올해도 확보했다면 정부예산 607.71.82%(11601)이어야 한다. 그런데 점유율 1.47%89368억만 확보했으니 올해만 -21233억인 89368억에서 14136억을 부담하는 새만금 전체공정률은 10% 정도로 전북 족쇄다. 새만금 취사선택取捨選擇개념을 깊이 인식하고 해수유통 확대 등 공정 대전환이 시급하다./편집국장 고재홍>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