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가야 유적정비 활용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역사문화재유적유물박물전시미술(관) 2018. 6. 7. 11:45
(사진) 남원 월산리 가야 고분군 출토 갑주甲冑(갑옷과 투구)
전북가야 유적정비 활용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 일시/장소 : 2018. 6. 5(화) / 전북도청 4층 소회의실
- 용역기간 : 2017. 10. 16 ~ 2018. 6. 12
- 수행기관 : 군산대학교 박물관 ․ (재)전북연구원
- 용역내용 : 전북가야 750개소(72개 유적 신규발굴),
6대전략 25대과제 총2천억원대의 사업계획 발굴,
가야특별법 제정 구체적 논점 개발 등전북도가 전북가야 실체규명 및 전북가야 활용, 특별법 제정 등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5일, 도청 4층에서 김송일 지사 권한대행 및 김인태 문광국장, 군산대 곽장근 교수 등이 참석해 전북 가야사 및 유적정비 활용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용역은 도가 전북가야에 종합 연구자료 확보, 향후 유적 발굴 ‧ 정비 ‧ 활용방안 모색 및 가야특별법 제정에 따른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기획한 연구용역이다.도는 2017년 6월 문 대통령이 수석보좌관 회의 시「고대 가야사 연구 복원사업」을 지방 정책공약에 포함시켜 추진하라고 지시해 17년 6월 9일, 전북가야 지역 전문가 간담회를 열었고, 이를 바탕으로 과업방향을 결정해 2017년 8월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10월 군산대와 전북연구원 컨소시엄을 구성한 팀과 계약했다.
용역은 도내에서 가야 유적발굴에 독보적 성과가 있는 군산대 가야연구소가 주도했고, 향후 가야유적 활용방안과 가야 특별법제정 내용은 전북연구원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용역 최종보고서에는 전북가야 고분․봉수․산성․제철유적과 관련 있는 유적 750개소가 조사됐으며, 전북가야 활용 관련 6대전략 25대과제에 총2천억의 사업도 포함됐고, 가야특별법 내용에 포함돼야 할 검토내용과 특별법 제정에 따른 전략 등을 담았다.
최종보고회에서는 전북가야 차별성을 부각할 봉수․제철유적 관련 추가용역 추진, 문화재청 가야 고분군 유네스코 등재추진에 따른 도의 대응방안, 전북가야문화연구소 설립 검토, 가야 소재 브랜드 상설공연장 운영 문제점 및 대책, 실감콘텐츠 제작․운영방안, 가야와 일본과 연계성, 전북가야에 대한 타 지자체나 중앙부처 인식전환을 위한 홍보, 전북가야학 정립, 예산확보 방안 등 다양한 주제 논의가 이루어졌다./전주 고재홍 기자>
---------------------------------
구 분
용역전 유적
용역후 유적
증가
계
678
【443기 / 344개소】
750
【456기 / 425개소】
72
(13기 / 72개소)
고 분
(443기 / 109개소)
(456기 / 131개소)
(13기 / 22개소)
봉 수
65개소
73개소
8개소
산 성
40개소
46개소
6개소
제 철 유 적
130개소
175개소
45개소전북 가야사 및 유적정비 활용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의 개요◊ (배경)‘17.6.1.(목) 대통령 수석보좌관 회의 시「고대 가야사 연구 복원 사업을 지방 정책공약에 포함시켜 추진」지시에 따라 전북지역 남원‧장수 등 동부권을 중심으로 한 가야사 연구‧발굴‧복원‧활용사업에 탄력이 받을 전망
◊ (필요성) 전북 가야사 조사 및 연구가 현재까지는 남원‧장수를 중심으로 부분적으로만 진행되고 진안‧임실 등 타 지역은 체계적인 연구‧조사가 미흡한 실정임. 이에 전라북도 전체 지역에 대한 현황과 역사고증, 가야유적의 향후 정비 및 활용방안 등이 포함된 체계적‧종합적인 연구 자료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
◊ (목적) 전라북도 가야사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유적 발굴‧정비‧활용 방안 모색 및 예산 확보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음Ⅰ
용역 개요
○ 용 역 명 : 전북 가야사 및 유적정비 활용방안 연구용역
○ 용역기간 : 2017. 10. 16 ~ 2018. 06. 12
○ 예 산 : 일금 칠천팔백사십구만육천원정(₩78,496,000원)
○ 수행기관 : 군산대학교박물관·(재)전북연구원(공동수급)
○ 용역내용 : 전북지역 가야 관련 유적의 목록화 등 4개 과제
Ⅱ
과업 내용 및 수행기관(연구자)구 분
군산대학교박물관
전북연구원
과업내용
○ 전북지역 가야관련 유적의 목록화
○ 가야 관련 조사와 연구 자료의 집성
○ 전북가야 문화유산의 종합고찰(논고)
○ 가야문화유산의 조사 및 정비 사업에
대한 단계별 추진계획 및 예산 산정
○ 가야 문화유산의 향후 활용 방안 제시
(체험 및 관광 프로그램 개발, 스토리텔링
및 컨텐츠 개발 등)1. 과업내용 및 수행 분담
2. 과업 수행기관 참여 연구원소속
성명
직위
비고
군산대
박물관
곽장근
박물관장
연구책임
조명일
학예연구원
연구원
유영춘
학예연구원
연구원
신소미
학예연구원
연구보조원
김은희
학예연구원
연구보조원
이한나
학예연구원
연구보조원
전북
연구원
장세길
전문연구원
연구원
김형오
전문연구원
연구원
신지원
전문연구원
연구원
장재협
전문연구원
연구원
Ⅲ
과업의 세부 내용
1. 전북지역 가야 관련 유적(지명, 전설 등 포함)의 목록화2. 가야 관련 조사와 연구(문헌)자료의 집성
3. 전북가야의 문화유산의 역사적 의미4. 가야문화유산 조사 및 정비사업의 방향성 및 추진계획 제시
5. 가야문화유산의 활용방안 제시
Ⅴ
회의 개요
○ 회 의 명 : 전북 가야사 및 유적정비 활용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
○ 일 시 : 2018. 06. 05(화요일) 오전 11시
○ 장 소 : 전라북도청 4층 회의실Ⅵ
주요 보고 내용
1. 용역 개요 및 추진 과정
2. 전북가야 문화유산 조사 및 정비 분야○ 고분
지자체
2017년 6월 자료
2018년 6월 자료(현재)
비고
남원시
44개소 유적, 180기
53개소 180여기 이상
남원 서부 추가
장수군
47개소 유적, 240기
48개소 유적, 240기
1개소 추가
무주군
15개소 유적
15개소 유적
변동 없음
진안군
1개소 유적
9개소 유적
8개소 추가
완주군
-
-임실군
2개소 유적, 7기
3개소 유적, 9기
1개소 추가
순창군
-
3개소 유적
신규 추가
계
109개소 유적, 443기
131개소 유적, 456기
22개소 추가○ 봉수
지자체
2017년 6월 자료
2018년 6월 자료(현재)
비고
남원시
3개소 유적
5개소 유적
2개소 추가
장수군
21개소 유적
21개소 유적
변동 없음
무주군
11개소 유적
11개소 유적
변동 없음
진안군
13개소 유적
14개소8개소 유적
1개소 추가
완주군
4개소 유적
8개소 유적
4개소 추가
임실군
13개소 유적
14개소 유적
1개소 추가
순창군
-
-
-
계
65개소 유적
73개소 유적
8개소 추가
○ 산성
지자체
2017년 6월 자료
2018년 6월 자료(현재)
비고
남원시
1개소 유적
11개소 유적
10개소 추가
장수군
11개소 유적
4개소 유적
7개소 감소
(남원 중복, 봉수 중복)
무주군
-
3개소 유적
3개소 추가
진안군
10개소 유적
10개소 유적
변동 없음
완주군
1개소 유적
9개소 유적
8개소 추가
임실군
14개소 유적
4개소 유적
10개소 감소
(가야 관련성 높은 유적 선별)
순창군
3개소 유적
5개소 유적
2개소 추가
계
40개소 유적
46개소 유적
6개소 추가○ 제철유적
지자체
2017년 6월 자료
2018년 6월 자료(현재)
비고
남원시
33개소 유적
36개소 유적
3개소 추가
장수군
58개소 유적
60개소 유적
2개소 추가
무주군
30개소 유적
31개소 유적
1개소 추가
진안군
1개소 유적
21개소 유적
20개소 추가
완주군
5개소 유적
23개소 유적
18개소 추가
임실군
2개소 유적
4개소 유적
2개소 추가
순창군
1개소 유적
1개소 유적
변동 없음
계
130개소 유적
175개소 유적
45개소 추가
3. 전북가야 문화유산의 활용전략 분야
■ 활용전략 수립방향
■ 전북가야 활용의 비전과 전략○ 비 전 : 가야왕국 체험의 새로운 중심
○ 목 표 : ① 클러스터를 활용한 전북가야의 경쟁력 확보, ② 차별화된 체험을 위한 지역자원과의 융합 활성화, ③ 셋째, 지역주민 주도, 지역협력형 지속가능한 활용발전 도모
■ 6대 전략별 활용 사업(단위 : 백만원)
6대 전략
25대 과제
계획년도(19~28)
합계
국비
도비
시·군비
기타
1단계
2단계
19
20
21
22
23~
중요자원 발굴 및 거점사업 개발합 계
203,490
67,145.5
10,550
75,535.5
·4,100
①
장수가야 역사문화 ‘관광지’ 조성80,000
32,000
1,800
46,200
·
②
운봉가야 역사문화 ‘현장박물관’46,159
·
·
·
·
③
고대역사(관방유적) 실감체험
테마파크 조성10,000
5,000
·
2,500
2,500
④
가야문화마을 조성1,200
480
·
720
·
⑤
일반농산어촌개발 국가사업
활용, 가야역사문화마을 개발-
-
-
-
-
시너지 창출을 위한 연계사업 개발
①
전북가야 역사벨트 거점 조성15,100
7,000
100
8,000
·
②
한반도 최초의 봉수왕국 복원사업3,000
3,000
·
·
·
③
장수가야-운봉가야 연계,
전북가야 마실길 개발1,000
300
300
400
·
역사/자연/문화/기술 융합콘텐츠 개발
①
전북가야 스토리텔링/콘텐츠 개발300
·
100
200
·
②
전북가야 테마, 문화유산
4.0 실감콘텐츠 개발5,000
2,000
1,000
1,000
1,000
③
전북가야 브랜드공연 및 예술행사10,000
4,000
1,000
5,000
·
관광상품 개발 및 마케팅 활성화
①
전북가야 유산관광 상품 및
프로그램 개발1,900
800
200
800
100
②
2022년 전북가야 방문의 해 개최2,000
·
·
2,000
·
③
전북가야 역사문화축제 개발/운영2,400
1,200
·
1,200
·
④
전북가야 통합 홍보마케팅 추진1,000
·
500
500
·
전북가야 정체성 확립 및 계승
①
전북가야학의 정립 및 진흥1,000
·
500
·
500
②
전북가야 지역주민 역량강화400
·
·
400
·
③
가야역사문화 해설사 양성/배치200
100
50
50
·
④
호·영남 가야교류 활성화 지원1,300
450
·
850
·
⑤
주민참여형 전북가야유적 돌봄 지원1,431
715.5
·
715.5
·
지속가능한 활용발전
기반구축
①
가야사특별법 제정 및 개정·
·
·
·
·
②
도 조례제정 및 진흥기관 지정·
·
·
·
·
③
가야역사문화진흥원 설립20,100
10,100
5,000
5,000
·
④
세계유산 추진: 가야유산, 제철유적·
·
·
·
·
⑤
전북가야 문화재형 사회적 기업·
·
·
·
·'역사문화재유적유물박물전시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 군산세관 본관’ 국가지정문화재(사적)로 지정된다! (0) 2018.06.22 군산 3.1운동 100주년 기념관 개관 (0) 2018.06.19 전북도, 전북가야문화 실체규명 속도낸다 (0) 2018.05.09 문화재청, 미륵사지사리장엄 등 보물지정예고 (0) 2018.04.26 익산예술의전당 ‘EBS모여라딩동댕’ 방송 성황 (0) 2018.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