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익산쌍릉, 발굴유물 거의 없어
    역사문화재유적유물박물전시미술(관) 2018. 4. 2. 14:15

     



    <쌍릉 일제강점기 발굴유물 사진 등> 대왕릉소왕릉


































































































      



     

     

    익산쌍릉, 발굴유물 거의 없어

     

     

    - 굴식돌방무덤과 인골 담은 나무상자만 확인

     

    -전형적인 예산낭비 논란 재연될 듯

     

        

     

     

     

    2기 묘가 나란히 있어 쌍릉으로 불리는 사적 제97호 익산 쌍릉에서 굴식돌방무덤과 현실 안에서 인골을 담은 나무상자가 발견됐을 뿐 유물이 거의 없어 예산낭비 논란이다.

        

     

     


    특히 백제 사비기 무덤인지, 이전 마한시대 무덤인지는 백제무왕과 선화공주릉이라 주장해온 마한백제문화연구소(소장 최완규)가 아닌 객관적 사학자들이 종합연구 해야 할 과제다.

     

     



    익산시와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25천여만원을 들여 대왕릉 발굴을 925일부터 착수했다.

     

     



     

    문화재청과 익산시는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를 통해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 하나로 지난해 8월부터 이곳에서 발굴 조사를 진행해 왔다.

     

     


     

     

    쌍릉(대왕릉, 소왕릉) 중 대왕릉은 입구가 중앙에 있으며, 단면육각형 현실玄室 축조된 전형적인 백제사비기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하나 보다 객관적인 사학자들의 종합연구가 절실하다.

        

     

     

     

    또한 화강석을 정연하게 다듬은 돌을 이용여 축조했는데, 현실 규모(길이 378cm, 너비 176cm, 높이 225cm)는 부여 능산리 왕릉군 중 가장 규모가 크다고 알려진 동하총의 현실(길이 327cm, 너비 152cm, 높이 195cm)보다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 일제 강점기 발굴결과와 별 차이가 없다.

        

     

     

     

    앞으로 대왕릉의 세부적 판축양상과 봉분의 공간활용 등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무덤 축조시기가 마한시대인지 백제시대인지 규명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현실 내부 중앙의 화강암 재질 관대棺臺 맨 위쪽에서 인골이 담긴 나무상자가 발견됐는데 1917년 일제강점기 조사 시, 발견된 피장자 인골을 수습·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측돼 일제강점기 발굴유물 외에 거의 새로운 유물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무려 25천만원을 들인 대왕릉 발굴이전부터 불거진 예산낭비 논란이 재연될 개연성이 짙다.

        

     

     

     

    한편, 대왕릉 인골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항온항습실로 옮겨 보관하는데, 과학적 조사를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를 수행할 예정으로 최종 분석결과가 나오면 피장자에 대한 더 구체적 정보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익산 고재홍 기자>

     

     

     

    -----------

     

    <이하 보도자료 원문>

     

    익산 쌍릉, 왕릉급 무덤으로 실체가 드러나다.

    - 전형적인 백제 사비기 굴식돌방무덤과 인골 담은 나무상자 확인

     

     

     

    2기 묘가 나란히 있어 쌍릉으로 불리는 익산 쌍릉(사적 제97)에서 전형적인 백제 사비기 굴식돌방무덤과 현실 안에서 인골을 담은 나무상자가 발견되었다. 문화재청(청장 김종진)과 익산시(시장 정헌율)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하나로 지난해 8월부터 이곳에서 발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쌍릉(대왕릉, 소왕릉) 중 대왕릉은 입구가 중앙에 있으며, 단면육각형의 현실(玄室) 축조된 전형적인 백제 사비기의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확인되었다. 대형의 화강석을 정연하게 다듬은 돌을 이용하여 축조했는데, 현실의 규모(길이 378cm, 너비 176cm, 높이 225cm)는 부여 능산리 왕릉군 중 가장 규모가 크다고 알려진 동하총의 현실(길이 327cm, 너비 152cm, 높이 195cm)보다도 더 크다. 특히, 현재까지 조사된 사비기 백제의 왕릉급 무덤으로는 처음으로 판축(版築) 기법을 사용하여 봉분을 조성하였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 대왕릉 봉분 크기: 직경 약 25m, 높이 5m 내외

    * 현실(玄室): 시신을 넣은 널()이 안치된 방

    * 판축 기법: 건축물 지반을 다지기 위해 흙 등을 여러 겹으로 단단히 다지는 기법

     

    앞으로 대왕릉의 세부적인 판축 양상과 봉분의 공간 활용 등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백제 사비기 왕릉급 무덤의 조성 과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실 내부 중앙에 있는 화강암 재질의 관대(棺臺) 맨 위쪽에서 인골이 담긴 나무상자가 발견되었다. 1917년 일제강점기 조사 시, 발견된 피장자의 인골을 수습하여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이 인골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항온항습실로 옮겨 보관하고 있는데, 과학적 조사를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최종 분석결과가 나오면 피장자에 대한 더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관대(棺臺): 무덤 안에 시신을 넣은 관을 얹어놓던 평상이나 낮은 대(널받침)

     

    조사 성과는 오는 3일 오후 2시 발굴현장에서 공개하며, 4일부터 6일까지 매일 1(오후 2) 현장 방문객을 위한 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 발굴 현장: 전북 익산시 석왕동 산 6-11 익산 쌍릉

     

    문화재청은 앞으로 추가 발굴조사와 석재, 인골 등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익산 쌍릉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 아울러 익산지역의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 사업을 통해 백제 왕도의 역사성 회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붙임: 사진 자료. .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 사업

    사업대상: 백제역사유적지구, 공주부여익산의 백제 유적 등 총 26개소

    - 공주시 :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정지산 유적, 수촌리 고분, 대통사지, 고마나루

    - 부여군 : 부소산성, 관북리 유적,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 부여나성, 왕흥사지,
    능안골 고분, 군수리사지, 화지산 유적, 정암리 와요지, 가림성, 구드래 일원

    - 익산시 : 왕궁리 유적, 미륵사지, 제석사지, 익산 쌍릉, 익산토성, 금마도토성,
    미륵산성,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사업기간: 20172038(22개년)

    익산 쌍릉 발굴조사 경과

    1917: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일본인 야쓰이 세이치(谷井濟一) 의해 약식 발굴(간단한 출장복명서 형식의 보고문, 개략적인 실측도)

    2016: 국립전주박물관의 익산 쌍릉 일제강점기 자료조사보고서에서 대왕릉 출토품으로 전해지는 여성의 치아와 수습된 토기가 신라계 토기로 발표된 이후 대왕릉의 피장자에 대한 논란이 제기됨.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