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칼럼> 전북도 인구추락, 이상(?) 조짐!
    <칼럼사설수필> 2016. 4. 25. 11:16





    <칼럼> 전북도 인구추락, 이상(?) 조짐!


    올 들어 전북인구 감소세가 추락‘이라 할 정도로 이상(?) 조짐이다. 지난해 줄어든 1849명의 1.63배인 3020명이 3개월 만에 줄었다. 지난해도 전국 9개 도 단위 광역지자체 중 전북만 유일하게 줄어든데 이어 ’본격 추락이 우려된다. 반면, 20135 호남을 추월하기 시작한 충청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인구역전 27개월 만인 지난해 말 <14354> 차이로 늘어난데 이어 올 들어 3개월 만에 22094명이 늘어난 <162448>으로 벌어졌다. 인구역전 2년10개월 만이다.



    전북인구 급감은 역대정부 홀대에 이어 집권10도 허송하고, MB정부 24조 규모 4대강에서 전북만 소외되는 등 각종 개발부진에 이어 현 정부에서도 전북도 국가예산은 제자리걸음이고 새만금도 사반세기 25년 간 끝없는 공사만 진행되는 등 개발이 터덕거리기 때문이다. 20대 총선에서 호남에서 더민주가 몰락하고 국민의당이 호남1당이 됐으며, 새누리도 전남과 전북에서 각각 당선돼 호남지역 여야3당 시대가 도래 한 배경이다.


    호남 인구변화를 알아보자. 60년말 2499만명 전국인구 중 전북 239만명, 전남 355만명으로 호남거주자는 594만명에 달해 전국 23.77%를 차지했다. 20163월말 호남권 3개 광역 시·도 인구는 광주 147만여 명, 전남 190만여 명, 전북 186만여 명 등 5243548명으로, 전국인구 5156만여 명의 10.1%. 전국인구는 두 배 이상으로 늘었으나 호남인구는 절대숫자가 감소해 점유율이 1/4에서 1/10이 됐다. 3월말 대전 151만여 명, 충남 208만여 명, 충북 158만여 명 세종특별자치시 22만여 명 등 충청권 5405996명보다 <162448>이 적다. 이는 지난해 말 <14354> 차이보다 석 달 만에 22094명이 늘어났다.



    세종시와 충남, 충북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으나 전북은 석 달 만에 3020, 전남 3757, 광주 581명 등 추락한다. 자연적 증가만 있고 사회적 이동이 없었다고 가정하면 호남인구가 1225만이 돼야 하나 524만여 명만 남고 2세를 포함, 701만여 명이 타향살이를 하는 셈이다. 6.25 동란에도 없던 '민족대이동'이다.



    전북은 022백만이 무너지고 3년도 안 돼 190만도 붕괴됐다. 그나마 주소지만 두고 외지에서 학교나 직장을 다니는 젊은이 등이 엄청나 실제 거주자는 186만 명보다 훨씬 적다. 농촌지역이 대부분이어 고령층이 많아 획기적 유입대책이 없으면 인구추락은 멈추지 않을 조짐이다.



    '아기 더 낳기''위장전입 주소이전'이 성행하나 직장을 찾아 떠나거나 주소지를 옮겨가면 그만이다. 산단개발과 기업유치가 헛구호로 주민이주가 계속된다.

    일부에서는 충청지역이 수도권에서 가까워 개발혜택을 입기 때문이다.“고 말하나 강원·제주 및 경·남북 인구증가나 현상유지는 무엇으로 설명할까?



    이는 집권10도 허송하고 MB정부에 24(210억 달러)가 투자된 4대강 사업이라는 황금잔치에서도 소외된 것도 원인이다. 전남은 당시 도지사가 민주당 당론과 반대로 영산강사업을 주도해 3조원이 투입됐으나 전북 정치권은 반대만 하다가 콩고물도 챙기지 못하고 거꾸로 4대강 예산마련을 위해 도로 및 하천 예산이 수년 간 급감하는 피해를 당했다. 현 정부 들어서도 지역예산은 3년째 제자리걸음이나 전북도는 3년 연속 국가예산 6조원대 초반 '정체停滯''달성達成'으로 미화했다. 


    그러나 총선과정에서 김무성 새누리 대표가 지난해 국가예산 증가율은 <인천 17%, 충남 10%였던 반면 전북은 0.7%의 전국 꼴찌>30년 간 전북은 더민주를 지지해왔지만, 지역발전을 내팽개쳐 얻은 게 뭐냐?""배신감을 느끼지 않느냐? 이러고도 야당 의원을 뽑겠느냐, 배알도 없느냐. 정신 차려야 한다."고 발언해 전북도와 지역정치권이 전국망신을 샀다.


    새만금은 25년간 공사만 진행되고 당초 계획대로 추진하려면 총예산이 50조가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는 등 끝없는 수렁에서 허우적대나 여전히 장밋빛 청사진만 남발한다. 정치권도 지역개발공약은 전무하고 정권교체만을 내걸다가 여론악화로 총선에서 철퇴를 맞았다. 한 번 붕괴된 민심은 건물처럼 복구가 불가능하다. ‘여야 3이라는 호기를 맞아 인구추락을 반전시킬 대책이 절실히 요청된다./취재국장 고재홍>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