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남권 인구, 충청권 보다 14만354명 적어인구청년임신출산은퇴지역소멸 2016. 1. 8. 11:38
<전국 9개 도 단위 지역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감소해 187만도 붕괴된 전북도청사>
호남권 인구, 충청권 보다 14만354명 적어
- 2013년 5월 인구역전 후, 불과 2년7개월 만에
- 전북인구 187만도 붕괴, 인구정책 실패
- 전주.군산.완주만 늘어, 11개 시군은 줄어
2013년 5월, 호남인구를 추월하기 시작한 충청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인구가 역전된 지, 불과 2년 7개월 만에 한 해 평균 5만4330명 꼴인 <14만354명> 차이로 급격히 늘어났다.
반면, 지난해 전북인구는 전국 9개 도 단위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감소해 187만 마저도 붕괴됐고 도내에서도 전주. 군산시와 완주군만 늘고 11개 시군은 지속적으로 줄어 전북도와 일선 시군의 인구 늘리기가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2015년말 호남권 3개 광역 시·도 인구는 광주 147만2199명, 전남 190만8996명, 전북 186만9711명 등 525만0906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 21만0884명, 대전 151만8775명, 충남 207만7649명, 충북 158만3952명 등 충청권 539만1260명 보다 14만354명이 적다.
건국 이래 최초의 충청권과 호남권 인구역전은 2013년 5월말, 충청지역이 408명이 많았으나 불과 2년 7개월 만에 14만354명 차이로 나타나 한 해 5만4330명가량이 더 벌어지고 세종특별자치시 인구가 급증해 두 지역 인구차는 갈수록 심해질 전망이다.
이는 총선 등에서 국회의원 숫자와 밀접하게 작용하는 등 정치. 경제 등에 엄청난 작용을 해 ‘영호남. 충청‘이 아니라 ’영충호 시대‘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전북인구는 전국 9개 도 단위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감소해 187만도 붕괴돼 전북도를 비롯한 일선 시군의 인구 늘리기 정책이 ‘언 발에 오줌 누기 식’이라는 지적이다.
즉, 경기도는 작년 한 해에 무려 16만4천여명이 증가했고 제주는 1만7천여명, 경남, 1만4천여명, 충남 1만5천여명, 강원도와 충북, 경북과 전남 등도 2천여~ 5천여 명 이상 인구가 늘어났으나 전북만 전년도 보다 1천849명이 감소해 187만도 붕괴된 186만9711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내 시군 가운데 인구가 늘어난 지역은 전주. 군산시와 완주군 뿐으로 나머지 11개 시군은 모두 인구가 감소했으며 농촌 고령화 및 산업기반 취약과 교육문화 환경 열악 등으로 갈수록 인구가 줄 가능성이 짙다./고재홍 기자>
'인구청년임신출산은퇴지역소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주군 인구, 전국 군郡단위서 6번째인구많아 (0) 2016.02.05 완주 이서면, 전북서 가장 인구 많은 면(面) 등극 (0) 2016.01.21 완주인구 양극화, 이서면 대폭증가, 기타읍면 감소 (0) 2015.11.25 군산시 수송동 인구 5만명 시대로! (0) 2015.08.19 군산, 대형쇼핑몰 입점 두고 영향조사 용역 실시 (0) 2015.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