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훼손된 역사 퍼즐을 맞추다역사문화재유적유물박물전시미술(관) 2025. 3. 28. 09:18
<동래군 필적>
<이보정 묘>
<이보정 신도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훼손된 역사 퍼즐을 맞추다
- 「동래군필적」 연구를 통한 이보정 신도비 복원
◇ 고문헌 연구의 성과, 조선 전기 인물 이보정의 신도비 기록 복원
◇ 정난종의 필적으로 남은 기록... 신도비 복원의 결정적 단서가 되다
◇ 훼손되어 식별이 어렵던 신도비명,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연구로 다시 태어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김낙년)은 조선시대 문신이자 명필인 정난종鄭蘭宗(1433~1489) 서예 작품 「동래군필적東萊君筆蹟」의 조사와 수집, 연구를 통해 500여 년간 훼손되어 알아볼 수 없었던 역사적 기록을 복원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견으로 연안 이씨 가문은 조상 이보정李補丁(1393~1456) 신도비를 새롭게 건립해 오는 29일(토) 신도비 제막식을 개최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은 2010년 동래 정씨 종가에서 4,000여 점 유물을 조사·수집해 「고문서집성」(97집)을 간행했으며, 이후 종가 측으로부터 모든 유물과 전적을 기증받아 지속적인 고문헌 연구를 한 끝에 2023년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작년에 연구서로 간행했다.
당시 주요 연구성과 중 하나가 바로 「동래군필적」이다.
「동래군필적」은 조선 세조와 성종 시대에 활동했던 정난종이 이보정李補丁(1393~1456)의 신도비神道碑를 탁본해 만든 총 14면으로 구성된 서첩이다.
연구 결과 이 신도비에 새겨져 있는 글(신도비명)은 지금까지 어떤 금석문 관련 서적이나 문헌에도 소개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진은 정난종이 이보정의 아들 이숭원李崇元(1428~1491)과 친분을 통해 이보정 신도비명을 쓴 것으로 추정했다.
정난종과 이숭원은 여러 차례 같은 직위에서 서로 교체되거나 동시에 승진한 기록이 있어 이숭원이 아버지의 신도비를 당대 명필이던 정난종에게 부탁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조선 전기 문신이었던 이보정이 사망한 후 신도비는 1481년에 건립됐다.
현재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에 위치한 이보정 신도비는 글자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훼손된 상태다.
연안 이씨 후손들은 정난종의 탁본으로 보존된 글「동래군필적」을 원본으로 삼아 신도비를 직접 재건립하기로 결정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관계자는 “흩어진 과거의 기록들을 돌아보지 않는다면 아무런 연고도 없이 사라진다.”며 “고문헌과 유물의 조사와 수집, 정리와 연구 과정을 통해 역사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연구는 연안 이씨 후손들이 선조에 대한 효(孝)를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고문헌 연구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는 사례가 됐다.
연안 이씨 후손이 건립하는 신도비 제막식은 올해 3월 29일(토) 오후 2시 개최될 예정이다.
* 신도비 : 죽은 사람의 평생사적을 기록해 무덤 앞에 세운 비석
* 정난종 : 조선의 문신·서예가. 1469년 《세조실록》을 편찬했으며, 《예종실록》 편찬에도 참여하는 등 경기도 군포시 속달마을에 위치한 동래 정씨 문중을 번성시킨 인물
'역사문화재유적유물박물전시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전주박물관, 봄 계절 체험행사 ‘꽃다발 꽃차 만들기’개최 (0) 2025.03.27 태조 이성계 발자취를 따라… 전북도, 역사·관광 융합 프로젝트 추진-전주오목대경기전남원황산대첩비지임실상이암장수뜬봉샘진안마이산은수사 (0) 2025.03.26 전주 종광대2구역 ‘현지보존’에 따른 보상 절차 돌입 (0) 2025.03.04 전주역사박물관·어진박물관 전주 관련 유물 공개 구입 (0) 2025.02.26 정읍시립박물관, 국보순회전 유치… 조선 왕실 청화백자 전시 (0)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