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광대 동양학대학원 임병학 교수, ‘주역 메타카드’ 제작대학도서관서점기숙사원룸입학졸업퇴 2024. 4. 12. 09:59
원광대 동양학대학원 임병학 교수, ‘주역 메타카드’ 제작
- 주역 64괘가 갖는 철학적 또는 인문학적 의미를 그림으로 표현
원광대(총장 박성태) 동양학대학원 임병학 교수가 ‘마음 힐링을 위한, 주역 메타카드(I-Ching Meta Cards for the Maeum Healing)’를 제작해 발표했다.
마음을 닦는 경전인 ‘세심경洗心經’이나 ‘수신서修身書’인 ‘주역’ 의미를 담은 ‘마음 힐링’과 관념적인 철학을 넘어선 형이상학적 의미를 표현한 ‘메타카드(Meta Cards)’를 합한 ‘마음 힐링을 위한, 주역 메타카드’는 ‘주역’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태경 박사과정 대학원생과 공동 작업했으며, 64괘 괘상卦象과 주제를 근거로 각 괘가 갖는 철학적 또는 인문학적 의미를 담았다.
대표적으로 4번째 산수몽괘山水蒙卦는 위에 산과 산 아래에는 샘물을 그려 몽괘蒙卦의 괘상을 표현하고, 어린아이인 몽蒙이 진리를 찾아가는 모습을 그렸으며(그림1 동몽도-童蒙圖), 16번째 괘인 뇌지예괘雷地豫卦는 인간의 종교적 심성과 행위에 대한 철학적 통찰을 담아 산죽山竹은 진괘이고, 산죽이 자라는 땅을 그려 괘상卦象을 표현해 위에는 울부짖는 종교인 타락한 모습과 진실하게 기도하는 모습을 그려 타락한 종교인은 울부짖는 명예鳴豫와 우상숭배를 하는 우예盱豫로, 진실한 종교인은 자신 양심에 말미암은 유예由豫와 자기 내면을 성찰하는 명예冥豫로 표현했다.(그림2 유예도-由豫圖)
또한, 사람 마음에 하늘의 뜻이 들어오는 의미를 담은 57번째 중풍손괘重風巽卦는 손괘巽卦를 상징하는 나무가 거듭되고, 나무 위에 새벽 시간을 알리는 닭이 있어 거듭된 손巽임을 표현했으며, 진리를 균형 있게 하는 신도神道는 저울대로 표현하고, 하늘 운행을 시간으로 드러내는 정·무·기丁戊己와 신·임·계辛壬癸의 선경삼일先庚三日 후경삼일後庚三日을 넣어 하늘의 진리를 세상에 사용하는 것을 표현했다.(그림3 중손도-重巽圖).
“이태경 선생과 공동으로 작업하지 않았으면 불가능했다”는 임병학 교수는 “동양학 본원이자 어려운 주역을 그림카드로 사람들이 쉽게 다가갈 통로를 마련하고, 내용이 왜곡된 외국에서 들어온 ‘주역 타로카드’는 내용 전달에 한계가 있어 주역 64괘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주역 64괘’를 출간한데 이어 ‘주역 메타카드’를 제작하게 됐다”며 제작 배경을 설명하고, “너무 방대한 주역 진리를 온전히 담을 수는 없었지만, 최소한 기초 내용은 표현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첨부 : 주역 메타카드 표지 및 그림1-4 동몽도童蒙圖 / 그림2-16 유예도由豫圖 / 그림3-57 중손도重巽圖
'대학도서관서점기숙사원룸입학졸업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난 100년 명암 성찰하는 <20세기 한국학술총서> ‘첫 결실’ (0) 2024.05.28 원광대, 개교 78주년 기념식 성황리에 개최 (0) 2024.05.15 원광대 총학생회, 2024년 벚꽃 문화제 개최 (0) 2024.04.02 원광대, 익산시와 익산고대문화연구 50년 사진전 개최 (0) 2024.03.28 원광대 한의과대학, ‘제22회 대한한의학회 학술대상’서 수상 (0) 2024.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