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극초박빙, 제20대 ‘윤석열’ 대통령 당선!<칼럼사설수필> 2022. 3. 10. 09:52
<칼럼> 극초박빙, 제20대 ‘윤석열’ 대통령 당선!
박빙·초박빙이 아니었다. 피 말리는 극초박빙極超薄氷이었다. 부동산 폭등·세금 증가·내로남불·저출산·인구절벽, 줄기찬 북한 미사일 발사, 지방소멸 위기·코로나 창궐, 러시아 원유 수입금지에 따른 유가 폭등·환율 인상(평가절하)·유동성 확대에 따른 고물가·취업난·젠더 갈등 상황에 대선은 끝났다.
지상파 3사 윤 48.4%(+0.6%)에, JTBC 이 48.4%(+0.7%)로 정반대 출구조사뿐 아니다. 사전투표 등 호남 투표함이 먼저 개표돼 더민주 이재명 후보보다 국민의 힘 윤석열 후보가 훨씬 낮은 지지율로 출발했다. 3월10일 0시30분 직후에야 48.3% 동률로 수렴되다가 윤 후보가 앞서기 시작했다. 국민을 밤새 잠 못 자게 한 ‘얄궂은 대선(?)’이다.
제20대 대선 최종 득표율은 윤 후보 48.6%·이 후보 47.8%였다. ‘0.73% 24만여 표‘ 역대 최저 득표(율) 차이다. 1997년 15대 대선에서 DJ가 이회창 후보에 ‘1.53% 39만여 표‘ 차이로 승리한 것보다 극초박빙이다. 충남 논산이 뿌리이며 서울에서 태어난 윤 후보는 대구(75.1%)·경북(72.8)·부산(58.3)·울산(54.4)·경남(58.2) 등 영남에서 269만 표가량 앞섰다. 이 후보가 광주(84.8)·전남(86.1)·전북(83)에서 249만여 표 더 얻은 것을 상쇄했다.
당선인은 이해찬 더민주 전 대표 안방인 세종(44.1)만 졌을 뿐 대전(49.6)·충남(51.1)·충북(50.7)도 승리했다. 특히 서울(50.6)에서 승리했으나 이 후보가 성남시장·경기지사를 지냈던 경기(45.6)·인천(47.1)에서 지는 등 17개 광역시도 중 10개 지역에서 승리했다. ‘출신지’가 아닌 ‘정당’에 따라 달라진 ‘얼룩무늬 대선’이다. 강고한 지역주의는 여전했다.
당선인 호남지지율은 지역통합·균형발전을 내세우며 DJ 생가 방문 등 누차 공을 들였으나 박근혜 전 대통령보다 약간 많은 득표율에 그쳤다. 20%는 기대했던 지지율 저조(광주12.7·전남11.4·전북14.4)는 ‘윤·안 단일화 역풍’ 탓이다. 안철수 전 후보도 불과 며칠 전, 결렬을 선언하고, 누차 완주를 선언했다. “윤 후보에 투표하면 1년 후 손가락을 잘라버리고 싶을 것”이라 비판한 직후, 너무 늦은 막판 단일화였다. ‘여반장如反掌(손바닥 뒤집듯이 함)’에 국민의 당 내부반발과 호남·수도권 이 후보 지지자 결집 및 ‘정치혐오’ 역풍을 초래했다.
단일화 직전 여론조사에서 3~5% 윤 후보가 앞섰고, 호남 등 높은 사전투표율도 증표다. 국민의힘이 종로·서초갑·청주상당·안성 4곳 국회의원 보궐을 휩쓴 데서도 알 수 있다.
YS(철학과)에 이은 서울대 출신 당선인은 이회창·이인제·이낙연·최재형·원희룡 ‘서울 법대’ 필패론 징크스(jinx: 악운)를 일거에 제거했다. 이인제·손학규·김문수·남경필·이재명 후보까지 ‘경기지사’ 필패론은 여전하다. “국민 '판사'는 3.9 단심재판에서 0선 ‘변호사’ 출신 이 후보와 0선 ‘검사’ 출신 윤 후보 치열한 다툼에, 고심 끝에 윤 후보 측에 승소 판결했다.”
당선인은 노무현·문재인 대통령에 이어 세 번째 사시 출신이다. 군 출신 3명(박정희·전두환·노태우)과 상고 출신 3명(김대중·노무현·이명박)과 기막힌 조화다. “9수 만에 사시 합격했다던 당선인은 1수 만에 대통령에 당선됐다.”
충남 천안군(현 아산시) 출신 윤보선 4대 대통령에 이어, JP도 이루지 못한 ‘충청 대망론’을 실현했다. 특히 당선인까지 13인 대통령 중 서울 출신 최초 대통령이다. 서울·경기·인천은 인구만 많을 뿐 대통령을 배출치 못했다는 징크스 중 서울은 깨졌으나 경기·인천은 여전하다.
‘20년 집권론’에 이어 “대통령 10명을 더 당선 시켜야 한다.“는 ‘50년 집권론’을 5년 만에 종식시킨 당선인이 문재인 정부 검찰총장이었던 점은 아이러니다. ‘호남 예상 지지율 30% 상향‘처럼 ’자만이나 장담은 역효과‘이고, 끝까지 겸허해야 한다는 초보 상식이 입증됐다.
부동산 폭등 등으로 노무현 정부가 MB에 정권을 뺏긴 것처럼 문재인 정부도 민생과 가장 밀접한 부동산 폭등은 뼈아프다. 선거기간 윤 후보는 ”집값 폭등은 국민을 세입자 만드는 김수현 집권전략“이라 비판했다. ’혁신도시 시즌2‘ 등 수도권 집중완화 및 지방소멸 대책도 전무했다. 북한에 막말을 듣는 굴욕 및 해방 77년이 흐른 대일외교 난맥상 등에 걱정하는 국민이 적지 않았다. 전북 국비 증가율은 18~22년 내내 정부예산 증가율을 밑돌았다. 호남 등 지방인구 급감도 심각하다.
윤 후보를 엄청난 ‘대장동 사태’ 몸통이라면서도 국회 170여 석에 ‘특검’을 대선까지 실현치 않은 것은 국민수준에 반하는 것이다. 산적한 국정과제에 차기 윤석열 정부 책임이 엄청 크지만 국회 다수당인 더민주 책임도 매우 크다. 나라와 국민 및 국민통합을 위해 협력·협치해야 한다. 취임 한 달과 2년도 안 돼 지방선거와 총선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편집국장 고재홍>
'<칼럼사설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KO 방역 확진자와 사상 최대 동해안 산불! (0) 2022.03.17 <칼럼> 대선 끝, 지방선거 시작! (0) 2022.03.14 <칼럼> 금강송 등 백두대간을 지켜라! (0) 2022.03.07 <칼럼> 여합與合·야합野合 (0) 2022.03.06 <칼럼> 대통령부터 결사항전, ‘우크라이나‘ 미래는 밝다. (0) 2022.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