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칼럼> 세종·경기·제주·충북⇑ 전국·서울·광역시 등⇓
    <칼럼사설수필> 2021. 9. 6. 21:19

     

     

     

     

    칼럼.hwp
    0.03MB

     

     

     

     

     

     

    <칼럼> 세종·경기·제주·충북전국·서울·광역시 등

     

     

     

    한국인구가 급감한다. 민선7기 직전인 20186(이하 연·월말) 대비 올 8월 전국과 17개 광역시도 인구를 보면, 세종·경기·제주·충북만 급증하거나 증가했을 뿐 전국인구와 서울 및 6개 광역시와 6개도 인구는 줄었다. 감소율은 대구·울산·전북·부산·대전·전남 순이다.

     

     

     

     

     

     

     

    20186월 대비 32개월 후인 올 8월 전국인구는 51669716명으로 131733명이 줄었고 2020951841786명 정점에 대비하면, 11개월 만에 (172070)이 급감했다.

     

     

     

     

     

     

    인구증가율을 보면, 세종시가 1위로 64977(21.6%)이 급증했고, 경기555343(4.28%)이 늘었으며, 제주12357(1.86%)·충북1407(0.08%) 4개 지역만 증가했고, 13개 광역시도는 감소했다.

     

     

     

     

     

     

     

    인구감소율을 보면, 서울-263822(2.68%)을 제외하면 대구-75991(3.07%)·울산-35135(3%)·전북-52163(2.82%)·부산-96084(-2.78%)·대전-4199(2.68%)·전남-49638(2.63%)·경북-5836(1.89%)·경남-55110(1.63%)·광주-18775(1.28%)·강원-8573(0.6%)·인천-15454(0.5%)·충남-4037(0.2%) 순으로 줄었다.

     

     

     

     

     

     

    한국인구 정점은 코로나 시작 7개월만인 20209월로 이후 감소했다. 지난해는 인구감소 원년만이 아니다. 출생아도 272300명으로 사상최초 20만 명대로 급감한데 이어 사망자보다 적은 인구 데드크로스(dead cross)’ 현상으로 인구절벽'에 부닥쳤다. 코로나로 맞선도 꺼리며 아파트 폭등에 기존 직원도 길거리에 내몰리는 청년 취업난으로 결혼 기피·지연이 심해진 지난해 후폭풍은 올해 말부터 가시화된다. 올해 출생아 감소세는 더욱 가파르다.

     

     

     

     

     

     

     

    서울과 6개 광역시 감소는 아파트 폭등과 무관치 않다. 유례없는 매매가 및 전·월세 폭등에 서울인구가 경기도로 밀려나고, 지방 취업난으로 좋은 직장이 많은 수도권 중 주택가격이 저렴한 경기도로 몰리기 때문이다.

     

     

     

     

     

     

    광역도 중 전북·전남이 인구감소율 1·2위다. 국비확보나 기업유치를 부풀리거나 아무리 홍보에 능수능란해도 인구급감에는 할 말 없다. 전북은 민선6기가 출범한 20147월 이후, 2015-21년까지 한 번도 전북 국비 증가율정부예산증가율을 넘어선 적이 없다. 정부예산에서 전북 국비 점유율은 올해가 역대최저다. 새만금예산도 전북 국비에서 부담하니 그만큼 다른 사업을 못한다. 민간기업 투자도, 유치도 터덕거리니 인구가 급감한다.

     

     

     

     

     

     

     

    전북에서는 행정·교통·교육·문화가 집중됐고 사통팔달 도로망으로 도내인구 36.7%를 점한 전주시만 에코시티·효천지구 등 택지개발과 재건축이 집중돼 5955(0.91%) 증가해 657577명이 됐다. 도내 전 지역에서 출·퇴근이 가능하고, 화학공장·축산 악취도 없이 쾌적하기 때문이다.

     

     

     

     

     

     

    시 단위에서 민선7기 감소율 1위는 익산시. 16855(5.69%)이 감소해 279517명이다. 다음은 4888(5.67%)이 감소해 81347명이 남은 김제이며, 정읍은 5946(5.3%)이 줄어 107169명이다. 남원 2923(3.5%)이고, 군산은 7674(2.8%)이다. 익산시가 전북감소 5216332.3%16855명을 차지해 감소 주역이다.

     

     

     

     

     

     

     

    군 단위는 심각하다. 35사단 효과종료와 전주와 가까워 교육 등을 위한 출·퇴근자가 많은 임실이 2466(8.5%)으로 1위이며, 2위 순창2294(7.8%), 부안4118(7.4%), 고창4019(7%)·장수-1109(4.8%)·진안-1150(4.4%)·완주4011(4.2%)·무주-865(3.5%) 순이다.

     

     

     

     

     

     

    전국 광역도 중 감소율 1·2위인 전북과 전남은 경기도는 물론 세종시 등 전국각지로 뿔뿔이 해체된다. 이런 현상은 가속화될 전망이어 전북소멸이 전국 1순위다.

     

     

     

     

     

     

    정부의 획기적인 주택·결혼·출산정책이 절실하다. 아파트 건립·매입자금을 지원하는 결혼장려특별법’, 2혁신도시 등 낙후지역 집중개발법도 절실하다. 수도권 기업규제와 지방기업 우대, 공공기관·대학·특목고 지방이전 등 총체적 대책이 절실하다./편집국장 고재홍>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