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제 부흥운동 거점 ‘부안 우금산성’ 동문지(東門址) 확인역사문화재유적유물박물전시미술(관) 2018. 1. 16. 11:21
<동문지>
<동문지 측벽 축조 모습>
<등성시설>
<목주홈>
<문확석>
<발굴현장>
<조사지역 원경>
<출토유물 기와>
<출토유물-토기, 자기>
백제 부흥운동 거점 '부안 우금산성' 동문지(東門址) 확인- 발굴현장 설명회 개최 / 1.16. 오후 2시
문화재청(청장 김종진) 허가를 받아 부안군과 (재)전북문화재연구원(원장 김규정)이 조사하는 ‘부안 우금산성(禹金山城, 전북도기념물제20호)’ 유적에 대한 학술자문회의와 현장설명회가 지난 16일 발굴현장에서 개최됐다.
부안 우금산성은 백제부흥운동 최후 거점성으로 이번 조사는 성 동쪽 성곽시설 확인을 위한 발굴로 지난해 11월 시작해 오는 3월 마무리될 예정으로 ▲ 우금산성 동문지東門址와 등성시설登城施設(계단), ▲ 동문지와 인접한 성벽구조 등이 확인됐다.
동문지는 변산 정상과 이어지는 경사면에 있으며, 출입구 형태는 개방문開拒式(개거식)으로 판단되며 북쪽 측벽側壁석 현재상태로 파악했을 때 두 차례 이상 고쳐쌓은(수개축, 修改築) 것으로 추정된다.
특이 점은 2차 문지 양쪽측벽에 너비 32~50㎝, 깊이 47~70㎝ 나무기둥(목주, 木柱)홈이 여섯 군데 시설됐으며 바닥에는 주초석(건축물 기둥을 받쳐주는 돌)이 놓인 것으로 더 이른 시기 문지는 땅을 파 기둥홈을 마련하는데 우금산성은 목주홈을 마련해 발전된 양상이다.
등성시설은 동문지 내부 북쪽에서 확인됐는데 길이는 4.2m, 너비 6.4m이며, 길게 깬 돌을 이용해 계단형태로 쌓았다.
동성벽은 바닥면을 잘 고른 뒤 모래흙과 풍화토를 깐 후 길게 깬 돌을 이용해 허튼층쌓기로 축조했으며 유물로는 다량의 어골문魚骨文(생선뼈무늬), 격자문格子文(문살무늬)이 새겨진 기와와 ‘부령扶寧’명 기와, 청자와 분청사기 조각 등도 출토됐다.
이번 조사는 우금산성 문지 축조방법과 성벽구조, 등성시설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추후 복원‧정비에 중요 기초자료가 될 전망이다./부안 고재홍 기자>
============================
* 발굴현장: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산65-3번지
* 개거식開拒式: 일명 개방식開放式 또는 개방문이라고도 하는데, 성문의 개구부開口部(성벽이 좌우로 잘려진 상태) 상부가 개방된 형태
* 측벽側壁: 문지 양쪽 벽
* 등성시설登城施設: 성안에서 성벽 위나 성문 문루 등에 올라가게 만든 시설
* 허튼층쌓기: 불규칙한 돌을 사용하여 가로‧세로 줄눈이 일정하지 않게 쌓음
* 부령扶寧: 부안 일대 옛 지명으로 백제 시대 개화현으로 불리던 것을 신라 경덕왕이 고쳐 부름. 1943년 부령면이 부안읍으로 개칭
'역사문화재유적유물박물전시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종진 문화재청장 김제시 방문 현안점검 (0) 2018.01.25 전북 가야유적 호남에서 첫 사적 지정 예고 (0) 2018.01.23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사적지정 예고 (0) 2018.01.09 「삼국사기」‧「삼국유사」 등 ‘국보’승격, 김홍도·신윤복 그림 등 ‘보물’지정 예고 (0) 2018.01.09 익산시, 지역문화재 향토유적 지정 (0) 2018.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