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시장 한 번 출마 해봐요!"<칼럼사설수필> 2016. 1. 20. 10:58
<칼럼> "시장 한 번 출마 해봐요!"
4.13 총선이 80여일 앞으로 바짝 다가왔다.
그러나 익산 갑· 을 지역구의 두 명의 국회의원 선거도 중요하지만 시민의 관심은
‘시장 재선거’에 집중됐다. 금배지는 임기 4년이고, 시장은 박경철 전 익산시민연합 대표의 시장 잔여임기로 2년2개월여에 불과한데도 말이다.
시장 입지자로 거론되는 사람만 10여명이다. 처음부터 출마보다는 장난기가 뒤섞인 듯, 이름만 알리려는 듯 신문에 오르내리다 선거가 다가오자 슬그머니 물러선 인물까지 합치면 무려 15명 안팎이 물망에 올랐다.
지역 민심이반을 나타내듯 여당인 새누리당은 철옹성鐵甕城처럼 하나인데 범야권 정당은 헤아릴 수 없다. 정당과 민심까지 분열되니 시장과 국회의원 입지자만 우후죽순이다.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요, 오늘 친구가 내일의 원수다.” '적과의 동침'도 예사다. 재미있는 정치판에 웃기는 정치꾼들이 적지 않다.
주로 호남을 기반으로 한 범야권 정당이나 정당 엇비슷한 것만 <더민주(문재인), 국민의 당(안철수), 국민회의(천정배), 통합신당(박주선), 신민당(박준영), 민주당(김민석), 정의당, 노동당에 무소속, 칩거파(손학규. 정동영)> 등 10개 분파로 ‘구분십열九分十裂‘의 모래알인데 시장후보도 마찬가지다.
공천 받기도 쉬워진 데다 공천 받았다고 찍는다는 보장도 없어 공천장도 값어치가 없을 전망이다. 점포와 노점상처럼 정당이 급증한 원인도 있지만 시장 입지자까지 늘어난 데는 박경철 전 대표와도 관련이 많다. 익산시민연합 대표로 시민운동 외에는 수십년 간 확실한 직업도 없이 지방선거에서 이한수 당시 새정련 공천후보에 맞붙어 가까스로 이겼다가 16개월 시장 직을 수행하다 허위사실 공표혐의로 벌금 5백만원 확정판결에 낙마했다. 위법시장으로 판명났지만 느닷없는 시장에도 "공무원들이 호위무사처럼 아부하느라고 정신없더라. 누구라도 시장을 못할 것인가”라는 분위기가 확산됐다.
동네 슈퍼의 가맥 모임이나 회사대표, 혹은 시의원과 도의원만 만나면 “김 사장! 시장 한 번 출마해 봐요, 표만 받으면 시장인데 그 사람보다 못할 것이 뭐요”라거나 “의원님! 시장 도전해 봐요. 의원님이 그간 시장 보다 떨어지는 것이 뭐요”라는 말이 공공연히 오갔다.
심지어 "A기자, 나도 시장출마한다고 기사 한 번 멋지게 다뤄줘 봐!"라고 농담 삼아 말할 정도다.
30만 시장이 헐값이다. “저런 사람이 시장이면 나도 못할 게 없다“는 분위기에 편승해 이번 기회에 이름이나 알려보자는 듯, 시의원과 중소기업 사장들도 신문에 오르내렸다.
선거가 80여 일 밖에 안 남았는데 “더민주 이춘석 익산갑 의원이 김수흥 국회 국토교통위 수석전문위원을 전략공천 한다”는 논란으로 2선의 이한수 전 시장이 반발해 “익산갑 총선에서 이춘석 의원과 한 판 승부를 걸지 모른다”는 보도에 이어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더민주 노경환 예비후보가 언론보도를 근거로 이 의원에 “직권남용 및 공직선거법 위반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제출을 요구한다”며 “시장은 시민이 뽑는 것이지 이춘석 의원 호주머니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이 의원을 상대로 대검찰청 공안부와 협의해 법적절차를 밟겠다”는 논란으로 확대됐다.
조만간 이한수 전 시장의 거취표명이 예상되지만 현재 ‘더민주’ 입지자는 이한수 전 시장과 이원일 도당 부위원장, 김병곤 전 도의장, 노경환씨, 김수흥 전문위원 등 5명이나 김 위원은 이번 사태로 출마를 접을 것으로 예상된다.
천정배 ‘국민회의’ 후보로는 정헌율 전 부지사가 거론되지만, 인기가 급상승한 안철수 ‘국민의 당’을 통한 출마로 선회할 가능성도 짙다. ‘국민의 당’에서는 이영훈 전 익산참여연대 익산대표이자 우리들 치과 원장이 유력후보로 거론되며, ‘새누리’에서는 최행식 원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현 새누리 도당 부위원장인 황정택씨도 거론된다. 무소속은 원광대법학전문대학원 김은진 교수(여)가 출마선언을 했다. 그냥 10명이다. 근간에 언론에 오르는 것을 즐기는 듯 한 인물까지 합치면 15명이다. 피선거권만 있으면 누구나 출마가 가능하다지만 30만 시장이 동네 이장도 아니고 이렇게 시세가 없어서야 될 법인가? 뒤죽박죽 지방자치제 모순이 총체적으로 드러난 요즈음이다./취재국장 고재홍>
'<칼럼사설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단군상, 국제마음훈련원, 할랄단지! (0) 2016.01.26 <칼럼> ‘올드보이와 호남팔이’, 지역구 바꾸기 (0) 2016.01.25 <칼럼>정당부스시대, 야권통합 능사 아니다. (0) 2016.01.15 <칼럼> 원숭이와 총선의 해를 맞아~ (0) 2016.01.03 <칼럼> 다산 정약용과 청렴도 ‘꼴찌’ (0) 2015.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