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 전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고창>전체/고창문화관광 2024. 12. 27. 11:04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 전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고창군은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이 12월 27일자로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고시됐다고 밝혔다.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제작연대(조선 영조 31년, 1755년), 제작자(상정 외), 제작배경, 불상을 모신 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조성발원문이 남아 있고, 뛰어난 조각 양식 등 학술적·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8세기 불교조각 연구에 중요한 작품으로 인정받았다.
석가여래좌상은 58.5cm 정도의 크기의 작은 크기로, 무릎 폭과 상체의 조화가 잘 이루어졌고, 특히 이목구비와 손, 옷 주름 등에서 뛰어난 상정尙淨 작품 특징이 잘 표현됐다.
복장유물은 ‘발원문’과 ‘황초복자’라는 보자기로 감싼 ‘후령통候鈴筒’ 및 필사본과 목판본의 ‘다라니’, 세 종류의 ‘법화경’ 등 전적류 28책 등이다.
나윤옥 고창군 문화예술과장은 “올해 고창 문수사는 이번 도유형문화유산 지정과 함께 지난 7월 ‘고창 문수사 대웅전’이 보물로 승격되어 국가지정유산 4점(보물 3, 천연기념물 1) 및 도지정유산 4점 등 다수의 국가유산을 보유하게 됨에 따라 더욱 더 국가유산에 대해 체계적인 보존·활용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복장유물腹藏遺物: 불상을 만들 때, 가슴 안쪽에 특별한 의미를 담아 함께 넣는 물품
**발원문發願文: 불상 조성 등 불사佛事 관련 목적, 기원과 제작자, 참여자, 시주자 등을 기록한 글
'<고창>전체 > 고창문화관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창군, 구름골 산림휴양테마파크 만든다..“자연휴양림, 목재문화체험장 등” (0) 2025.01.21 고창군, 사계절 휴양명소 선운산도립공원 만든다-선운사설경,선운산생태숲 (0) 2025.01.09 고창군 무장현 관아와 읍성 경관조명 ‘반짝’ (0) 2024.12.12 고창군, 인천강 하구 습지 훼손지 복원..“대한민국 대표 습지 위상강화” (0) 2024.10.30 고창모양성제, 고운 빛깔 ‘고창 모양성제’ 답성놀이 열려 (1)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