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백제의 찬란한 문화유산 사진과 자료>-문화재청 제공사진 포함
    익산사진 2009. 1. 23. 07:41

     

    부여능산리에서 출토된 백제금동대향로(扶餘陵山里出土百濟金銅大香爐)-국보287호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는 1993년 12월 23일 부여군 능산리 절터 목곽 수로안에서 발견된 것으로 능산리 고분 관광객 주차장을 조성하다 발견됐으며 국보 287호로 지정됐다.

     

    높이 61.8cm, 무게 11.85kg이다.

     

    주차장 공사가 임박해 물웅덩이 진흙 속에서 발견된 것으로 바닥에는 기와와 토기 조각이 발견됐다.

     

    주변에서는 섬유 조각이 발굴됐는데, 백제금동대향로를 감쌌던 것으로 추정된다.

     

    1995년 발굴조사로 대향로가 발견된 일대가 백제 왕실 절터였음이 확인됐다.

     

    발굴된 목탑 흔적에서 발견된 사리감에서 "백제 창왕 13년(567)에 정해공주가 이 절을 지었다"는 기록이 발견됐으며 학계는 대향로가 단순 향로가 아니라 의식용. 제사용으로 추정한다.

     

    대향로에 조각된 용,봉황, 코끼리, 사자, 악어 등 현실과 가상세계의 동물 39마리, 연꽃잎과 수많은 어류와 짐승,인물상, 봉래산 74개 봉우리와 5명의 악사와 16명의 인물상 등으로 조각된 백제시대 걸작품 중의 걸작품이다.


    동양사상인 도교와 불교사상이 융합한 걸작품이다.

    ------------------------------------------------------------------------------

    <공주송산리 무령왕릉(武寧王陵)>

     

    <무령왕릉 금제관장식-왕의 관장식>국보 154호

     

     

    ------------------------------------------------------------------------------

    <무령왕릉 금제관장식-왕비 관장식>-국보 155호

     

     

     

     

     

    <무령왕릉 금제귀걸이-왕의 귀걸이>-국보 156호

     

     

     

     

    <무령왕릉 금제귀걸이-왕비 귀걸이>-국보 157호

     

     

     

     

     

    <무령왕릉 금제목걸이>-국보 158호

     

     

     

     

     

     

    <무령왕릉 금제뒤꽂이>-국보 159호

     

     

     

     

     

     

     

    <무령왕릉 은제팔찌>-국보 160호

     

     

     

     

     

     

    <무령왕릉 청동거울>-국보 161호

     

     

     

     

     

     

     


    <무령왕릉 석수>-국보 162호

     

     

     

     

     

     

     


    <무령왕릉 매지권>-국보 163호

     


     

    <무령왕릉 족좌>-국보 165호

     

     

     

     



    ------------------------------------------------------------------------------

     

    <왕흥사터 석조사리감-국보 288호>

     

     

     

    -------------------------------------------------------------------------------

    <익산,왕궁리5층석탑-국보 289호>

     

     

     

     

    ---------------------------------------------------------------------------------------

    <익산,왕궁리5층석탑 금동사리함과 유리사리병,금강경판>-국보 123호 

     

     

     <금동사리함과 사리병>-문화재청 사진

     

     

    왕궁리오층석탑내 발견유물(王宮里五層石塔內發見遺物)
    소재/출토지 : 왕궁리오층석탑내 출토
    분 류/종 목 : 국보 제123호
    시 기/수 령 : 통일신라∼고려 초기

    지 정 일 : 1966. 7. 26

     

     

    1965년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국보 제289호)을 보수하던 중 발견된 유물이며 만들어진 연대는
    통일신라시대 이다.
    발견된 유물들로는 사리장치 1식과 금제 판경(金製板經), 동불입상과 청동령(靑銅鈴)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유물은 금판제(金板製)의 금강경첩(金剛經帖)으로, 이 판경은 순금판
    19장에 각기 17행(자경(字徑) 0.6cm×0.7cm 내외)의 금강경문을 뚜렷하게 눌러 찍은 것으로서 그
    글자 모양으로 보아 이것을 눌러 찍기 위한 자모는 활자 형태 또는 정밀하게 조각된 판목(板木)에
    의한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사리병은 녹색의 양질 유리로서 장경병(長頸甁)의 양식과 곡선미를
    기품 있게 나타낸 작품인데, 연꽃 봉오리 모양의 금제 마개가 덮였고, 앙련화좌(仰蓮華座)를떠받친
    정사각형의 병좌하대(甁座下臺)를 갖추고 있다. 이 사리장치를 안치했던 금제방합(金製方盒)은
    네모 지붕형의 뚜껑을 가진 사각형의 합자(盒子)로서 지붕 위에는 반쯤 열린 연꽃 봉오리를 장식
    했고, 지붕 4위(圍)와 합신 4주(周)에는 보주(寶珠) 또는 화염문(火炎文)을 연상시키는 당초문의
    한 변형을 선각(線刻)으로 부출(浮出)시키고 그 주위의 공간에는 작고 큰 2중의 구슬무늬를 눌러
    찍었다.
    <출처 : 문화관광팀, 익산문화원>

     

     -----------------------------------------------------------------------------

     

    <익산,미륵사지석탑-국보 11호>

     

     

     

     

     <해체되기 전 미륵사지 석탑으로 서쪽탑이다.=西石塔, 금번 국보급 유물인 금제사리호와 금제사리봉안기가 발견된 석탑이다.>

     

     

     <해체복원 중인 미륵사지西석탑>

     

     

     <미륵사지 탐방객>

     

     

     

     

     <복원된 미륵사지 동탑>

     

     

     

    <미륵사지 가람모형>-중앙에 목탑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아직 복원되지 않했다.

     

     

     

    <미륵사지유물전시관>-전북도에서 관리하는 유물전시관으로 부여문화재연구소가 발굴조사한 유물 등이 전시됐다.

     

     

     

     

    ------------------------------------------------------------------------------

    <익산,미륵사지석탑에서 금제사리항아리와 금제사리봉안기 발견> -문화재청 발행 책자 사진 스캐너 포함

     

     

     

     

     

     

     

     

     

     

     

     

     

     

     

     

     

     

     

    <네모난 사리공 안에 금제사리호(앞의 뚜껑이 있는 것)와 금제사리봉안기(뒷면 직사각형의 금판에 글씨가 새겨진 것)가 1370년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금제사리호>

     

     

     

     

     

    금빛르네상스(미륵사지석탑사리장엄).jpg 

     

     

     

    금빛르네상스(심곡사불상).jpg 

     

     

     

     

    금빛르네상스(왕궁리사리장엄).jpg  

     금동제사리외호, 금제사리내호, 사리 및 구슬

     

     

     

     12과의 사리

     

     

     

     

     

     

     

     

     

     <금제사리봉안기>-문화재청 제공 사진자료

     

     

     

     

    <금제사리봉안기 원문>

    (앞면)竊以法王出世隨機赴感應物現身如水中月是以託生王宮示滅雙樹遺形八斛利益三千遂使光曜五色行遶七遍神通變化不可思議我百濟王后佐平沙乇積德女種善因於曠劫受勝報於今生撫育萬民棟梁三寶故能謹捨淨財造立伽藍以己亥

     

     

    (뒷면)年正月卄九日奉迎舍利願使世世供養劫劫無盡用此善根仰資 大王陛下年壽與山岳齊固寶曆共天地同久上弘 正法下化蒼生又願王后卽身心同水鏡照法界而恒明身若金剛等虛空而不滅七世久遠 並蒙福利凡是有心俱成佛道

     

    가만히 생각하건데, 法王(부처님)께서 세상에 나오셔서 (중생들의) 근기(根機)에 따라 감응(感應)하시고, (중생들의) 바람에 맞추어 몸을 드러내심은 물속에 달이 비치는 것과 같다. 그래서 (석가모니께서는) 왕궁(王宮)에 태어나셔서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시면서 8곡(斛)의 사리(舍利)를 남겨 3천 대천세계를 이익되게 하셨다. (그러니) 마침내 오색(五色)으로 빛나는 사리(舍利)를 7번 요잡(오른쪽으로 돌면서 경의를 표함)하면 그 신통변화는 불가사의할 것이다.우리 백제 왕후께서는 좌평(佐平) 사택적덕(沙乇積德)의 따님으로 지극히 오랜 세월(광겁·曠劫) 선인(善因)을 심어 금생에 뛰어난 과보(승보·勝報)를 받아 삼라만상을 어루만져 기르시고 불교(삼보·三寶)의 동량(棟梁)이 되셨기에 능히 정재(淨財)를 희사하여 가람(伽藍)을 세우시고, 기해년(己亥年) 정월 29일에 사리를 받들어 맞이했다.원하옵나니, 세세토록 공양하고 영원토록 다함이 없어서 이 선근(善根)을 자량(資糧)으로 하여 대왕폐하(大王陛下)의 수명은 산악과 같이 견고하고 치세(보력·寶曆)는 천지와 함께 영구하여, 위로는 정법(正法)을 넓히고 아래로는 창생(蒼生)을 교화하게 하소서.또 원하옵나니, 왕후(王后)의 신심(身心)은 수경(水鏡)과 같아서 법계(法界)를 비추어 항상 밝히시며, 금강 같은 몸은 허공과 나란히 불멸(不滅)하시어 칠세(七世)의 구원(久遠)까지도 함께 복리(福利)를 입게 하시고, 모든 중생들 함께 불도를 이루게 하소서.

    번역=김상현 동국대 교수  

     

     

     

     

     

     

     

     


     

     

     

     

     

     

     

     

     

     

     

     

     

     

     

     

     

     

     

     

     

     

     

     

     

     

     

     

     

     

     

     

        <은제장식 및 금제소형판>

     

     

     

     

     

     

     

     

     

     

     

     

     

     

     

     

     

     

      

     

     

     

     

     ------------------

    <사리장엄 사진전>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