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예인음악예술고 사태 해결하라.))
    <칼럼사설수필> 2007. 9. 6. 15:17

     

     

     

     

     

     

     

    (칼럼)백제로에서-

     

    예인음악예술고 사태 해결하라.

     

    "주민이 학교 정원수를 뽑아갔으니 나도 가로수를 뽑아 학교에 옮겨 심었습니다."

    "교장이 익산시내 가로수목을 뽑아 학교에 심는다"는 제보의 사실여부를 묻자 '예인음악예술고교' L모 교장이 수년 전 취재기자에 말한 내용이다.

    불특정 다수가 뽑아간 학교 정원수를 가로변 수목을 뽑아가 대신할 뿐이라는 것이다. 마치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탈리오법칙에 따른 "동해보복(同害報復)을 가한 것이므로 잘못이 없다는 식이다.

    당시는 음악을 전공한 물정을 모르는 서생(書生) 기질 때문으로 파악했으나 이후 예술학교에서 있을 수 없는 사건이 꼬리를 물었다.

    학교 홈페이지 '학교장 인사말'에는 "국내최초 음악특성화고교로 1999년 인가받아 2000년 춘포면에 개교했다."고 적혀있다.

    "21세기 음악재능을 개발시킬 뿐 아니라 급속히 변하는 미래 지식정보화에 능동 대응할 능력있는 사람을 육성하기 위해 역량을 다하며 학생과 교직원, 학부모가 삼위일체가 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매진합니다."라고도 기록됐다.

    이 학교는 왕궁온천을 지나 수백m 떨어진 논 가운데 위치했는데 잔디밭과 알록달록한 건물만 보면 전원속에 목가적 풍경으로 예술을 사랑하는 설립자 의지가 대단한 것으로 비춰진다.

    실제는 학교장의 학생폭행, 성추행 논란, 시설낙후 및 학생 처우문제로 끊임없이 마찰을 빚어 단골로 뉴스거리를 제공해주는 고마운(?) 학교로 전락했다.

    급기야 이달 3일부터 학부모들이 농성을 벌이며 수업거부 사태가 벌어졌다.

    우선 2005년 11월 상수도가 들어왔는데도 지하수를 계속 이용해 학생들은 배가 자주 아프다는 등 고통을 호소했다.

    학교측은 조리와 식수는 상수도를 사용했다 하나 2005년말부터 지난달까지 예인고 수도세가 기본요금이 대부분이어 비용절감이라는 어처구니로 판단된다. 

    인근에는 왕궁축산단지가 있어 폐수가 학교 앞을 지나고, 주변 농약살포도 많은데 설치된 상수도를 활용치 않고 수질검사도 없이 지하수만 활용했다.

    정교사 8명이 필요한데 정교사 2명, 기간제 2명 등 4명 밖에 없으나 학교측은 근로계약서를 제시하지 않은 채 정교사 2명과 기간제 1명을 별도 채용했다고 주장한다.

     

     

    교실과 기숙사 바닥이 패였고 벽면은 곰팡이가 슬었거나 거미줄이 처 있으며 낡은 책상과 악취나는 화장실은 학교라고 할 수 없을 정도다.

    학생들은 호흡기질병과 피부병, 두통을 호소했고 학교에서 감전사고도 발생했다.

    음악예술학교에 허름한 피아노 10여 대와 약간의 음악시설과 장비가 고작이다.

    도교육청 지원을 받지 않는 조건으로 인가 받았기 때문인데 법인에서 투자를 못해 수업료로만 부실 운영된다.

    학년당 정원은 40명이지만 자퇴와 전학으로 1학년 10명, 2학년 16명, 3학년 22명 등 48명만 남아있다.

    재정이 빈약한 법인에 학생도 적어지니 투자가 있을 까닭이 없다.

    3일 협약서를 통해 정교사 5명, 기간제 2명 확보, 학생수용 대책 및 학교재정 확보, 교실·실습실·기숙사 등 시설정비, 학생 건강검진과 사후보건대책을 약속했으나 협약서 이행여부에 농성과 수업거부는 계속됐다.

    전교조는 예인학교가 음악축제를 빌미로 참가비를 받는 등 비리와 시설낙후에도 교육청이 무관심으로 일관했다며 특별감사와 관선이사 파견 등을 촉구했다.

    "난국에 빠진 학교 정상화에 적극 나서라"고 한 전교조 주장처럼 교육청이 실태를 파악했음에도 유야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우려된다.

    분기당 1백만원 등록금에도 학사파행은 재정빈곤과 인식부족이 원인이다.

    고질적인 예인학교 사태에 교육당국의 적극 대책이 아쉽다.

    학생과 교직원, 학부모가 삼위일체가 돼 음악학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매진하지 않으면 상응하는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

    정원수를 뽑아가면 가로수를 뽑아올 정도로 강력한 대책(?)만이 예인학교 사태를 해결할 수 있다.

    차제에 솜방망이가 아닌 철퇴를 내려 진실로 사학발전을 위한 학교와 차별화를 꾀할 시점이 아닌가 싶다. <2007. 09. 07. 金>

     

     

    /익산취재본부장 고재홍>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