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공영자전거 이용 45% 급증
전주시 공영자전거 이용 45% 급증
- 시, 올해 공영자전거 이용 활성화 위해 전기자전거, 팻바이크 등 체험형 자전거 추가 배치
- 향교대여소 등 이용 늘면서 지난 상반기 이용실적 지난해 대비 2994건(44.6%) 상승 성과
- 시, 대여소 운영관리 시스템 현대화 등 통해 시민 이용편의사항 추가 제공 계획전주시 공영자전거를 타고 여행을 즐기는 시민과 관광객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도자료 서체는 조선후기 전주의 목판 인쇄본인 완판본을 현대적 감각으로 되살린 것입니다. |
○ 전주시는 올해 상반기 동안 공영자전거 대여건수가 총 9713건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6719건보다 2994건(44.6%) 증가한 수치다.
○ 이처럼 공영자전거 대여건수가 급증한 것은 한옥마을 등 전주를 찾는 관광객이 크게 는 데다 시가 공영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전기자전거와 팻바이크(운동형 자전거) 등 체험형 자전거를 구입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로 분석된다. 올해 새로 구입한 자전거는 전기자전거 19대와 팻바이크 9대, 2인용 자전거 및 일반 자전거 등 총 163대다.
○ 전주한옥마을 전주향교 앞에 있는 향교대여소의 경우 지난해 1651건에서 올해 2012건으로 361건(21.9%) 늘어났다.
○ 향교대여소 대여건수는 전주시 9개 공영자전거 대여소 전체 대여건수의 21%를 차지한다. 전주한옥마을을 찾는 관광객들은 전주시 공영자전거를 타고 한옥마을 뿐만 아니라 전주시내 곳곳을 누비는 것으로 보인다.
○ 현재 전주시 공영자전거는 전주향교를 포함해 평화의전당 주차장 등 9곳의 대여소에 총 404대가 비치돼 있다. 운영 시간은 월요일을 제외한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일몰시간을 고려해 하절기는 오후 7시까지, 동절기는 오후 5시까지 탄력적으로 운영된다.
○ 공영자전거 이용요금은 1회에 1000원이다. 대여소 운영시간 내에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폰 인증만으로 9개 대여소 어디에서나 대여와 반납이 가능하다. 만 14세 이하 이용자의 경우 보호자와 동반해야 이용할 수 있다.
○ 시는 향후 공영자전거 이용자들이 핸드폰과 카드로 대여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시민 이용편의 사항을 확대할 계획이다.
○ 이강준 전주시 시민교통본부장은 “전주시 공영자전거 대여소가 전주천, 삼천, 아중천 등 천변과 한옥마을 주변, 치명자산 성지와 평화의 전당 등 주요관광지와 여기저기 둘러볼 거리가 많은 곳에 위치해 있는 만큼 공영자전거를 이용해 안전하고 편리한 여행을 즐기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붙임: 공영자전거 이용 활성화>
공영자전거 이용 활성화
□ 운영현황
○ 대 여 소 : 9개소/ 자전거 404대 (1인용 329, 2인용 75)
· 자연생태관, 평화의전당, 오목대, 삼천, 송천, 아중, 향교, 대성, 평화
○ 운영형태 : 민간위탁 (덕진자활센터)
· 대여소 운영관리 시스템 : 2017. 11. 6 설치 (2천만원)
○ 예 산 액 : 156백만원(위탁금 121, 운영비 35) / 대여소, 자전거 구입 별도
※ 대성·평화대여소 : 2022년 3월 설치
덕진공원 대여소 : 2021년 6월 야후도서관 설치로 운영중단
□ 공영자전거 활성화 추진상황
○ 공영자전거 ‘꽃싱이’ 이용 홍보 리플릿 제작 배부 : ’22. 2.
○ 대성공영주차장, 한바탕국민체육센터 대여소 설치 완료 : ’22. 3.
○ QR형 공영자전거운영관리 시스템 도입 : ’22. 5.
○ 공영자전거 ‘꽃싱이’ 구입 완료(163대) : ’22. 5.
- 특화 자전거 73대(전기자전거19, 팻바이크 9, 어린이자전거 45)
- 일반 자전거 90대
○ 평화의전당 대여소 외부 리모델링(메탈사이딩) 완료 : ’22. 5.
○ 3개 대여소(대성동,평화동,생태박물관) 자전거 보관대 설치완료 : ’22. 5.
□ 금후 계획
○ 대여소 운영관리 시스템 고도화 도입·운영 : ’22. 8.
○ 대여소 추가 설치(백제교 옆) : ’22. 하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