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전체/고창문화관광
고창자수 지킴이 박미애씨, 道무형문화재 자수장 보유자 인정예고
산내들바다
2022. 7. 15. 09:42
고창자수 지킴이 박미애씨, 道무형문화재 자수장 보유자 인정예고
고창군이 전북도 무형문화재위 심의결과, 45년 이상 전통 자수의 길을 걸어온 박미애朴美愛(1959년생)씨를 15일자로 전라북도무형문화재 ‘자수장’(민수, 전통자수) 보유자로 인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자수장刺繡匠은 우리나라 전통 자수기법으로 견직물에 색실로 수를 놓는 전문 수공예 기술을 보유한 장인을 뜻한다.
자수는 직조기술 발달과 함께 한 것으로 추정되나, 기록에는 삼국시대부터 확인되는 전통기술 공예 분야.
도무형문화재 자수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박미애 씨는 어머니인 최인순 여사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자수에 취미를 가졌고, 1977년 어머니 자수공방에서 정식으로 자수를 배우기 시작했다.
1983년에는 서울시 무형문화재 한영화 선생과 1987년에는 국가무형문화재 한상수 선생으로부터 전통자수 기법인 궁수宮繡와 민수民繡 등 정교한 표현기법들을 배우고 체계화하여 예술적·지역적 가치를 지녔으며 고향인 고창에서 전수활동에 힘을 쏟아 왔다.
박미애 자수 특징은 가업을 이어 자수 가계도(3대)를 이루었고, 네 자매들이 무형문화재 보유자 등에게 배운 것을 공유해 전통 유물을 재현하고 전통 문양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도를 하는 등 작품활동을 해 왔다는 점이다.
즉, 어머니와 자매 교류, 무형문화재 보유자인 한상수, 한영화 선생 가르침을 통해 섬세하면서 화려하며, 적절한 색상 배합과 잘 짜인 구도의전통자수를 이어왔다.
이를 통해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각종 전통공예대회에서 수상했고, 고창자수 가족전 6회 및 개인전 등 각종 전시와 꾸준한 작품 활동을 통해 지역 내 자수 보급에 힘써 왔다.
박미애 씨는 1990년 어머니로부터 고창자수 공방을 인수받아 운영했고, 고창자수박물관 공방장, 행정실장 역임 및 현재는 고창전통자수 전수관과 체험장을 운영하여 자수 활성화 및 후학 양성 등 전통자수 맥을 이어가기 위한 왕성한 활동을 해 왔다.
심덕섭 군수는 “전통문화 맥을 잇기 위해 어렵고 취약한 환경에도 꾸준한 작품활동과 전승 활동을 통해 도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받게 된 점을 높게 평가한다”며 “지역 내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지켜온 분들이 모두 행복하고 활력 넘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고창 고재홍 기자>